바둑은 사람의 두뇌를 회전시키고, 심신을 단련시킨다하여 스포츠의 한 부류가 되었다. 검은 돌과 흰 돌을 나누어 가지고 바둑판 위에 번갈아 돌을 벌이어 집을 많이 차지함을 겨루는 놀이이다. 근대 스포츠는 힘만 가지고 하는 운동은 아니다. 건강한 정신에 건강한 신체가 단련되는 것처럼 모든 스포츠엔 항상 몸보다 마음이 앞선다. 그래서 선수나 지도자들은 한결같이 외치는 구호가 '집중하라'는 것이다. 집중은 먼저 마음을 한 곳에 모으는 것이다. 정신이 딴 곳에 가 있으면 마음이 흔들리고 육체도 또한 맥없이 흔들린다. 극기란 말이 생기는 까닭으로 마음을 바로 잡는 시간과 여유를 생각하고, 느끼고 결단한다. 조용한 곳에 방석을 깔고 묵념하듯 정신일도 하는 것이 하나의 운동으로 여기는 연유이다. 지금까지 오락으로 여겼던 바둑이 현세에 와서는 스포츠가 되어 놀이에서 시합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제 스포츠도 육체적인 기교와 정신적인 기교로 나누어진다. 대국하는 일에 정신적 긴장감을 조성해야 하기 때문에 출발 선상에 선 운동선수 같은 초조함도 가진다. 그리고 공격하고 수비하는 자세가 긴박한 것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중국 요나라를 거쳐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온 바둑은 처음의 취미와 오락의 순을 넘어 입문하는 인구수가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다. 바둑에는 정(正)과 사(邪)가 있다. 정도(正道)를 따르면 상달하고 사도(邪道)를 따르면 하달한다. 사도란 과욕을 의미한다. 바둑에 관한 예찬론도 많다. 바둑은 조화이며, 오락문화의 최고봉이다. 그것은 살아있는 병서(兵書)요, 산 수확이요, 산 처세훈이다. 그리고 바둑은 오락 이상의 귀중한 학문적 가치도 지녀 명기(名棋)는 인격을 동반한다는 저에서 도덕과 통하는 것으로 여긴다. 바둑판은 세계이며, 바둑알은 우주현상이다. 바둑 두는 법이 대자연의 제법(諸法)이다. 시간 보내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기던 것으로 노인네들의 소유물이지만 어린 세대들의 두뇌개발에 거대한 비율을 차지한다하여 기사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바둑은 수담(手談)이라 철학적인 요소도 있다. 좋은 벗을 얻고, 화목을 얻으며, 삶의 교훈을 찾고, 마음의 깨달음을 느끼고, 천수(天壽)를 누리게 하는 기도오득(棋道五得)의 스포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