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25일은 제1회 '서해 수호의 날'이다. 서해 수호의 날은 북한이 2000년 이후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감행한 주요 도발인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도발을 기억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날이다. 이 가운데 희생자가 가장 많았던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한 2010년 3월 26일이 금요일이라는 점에 착안해 매년 3월 넷째주 금요일을 서해 수호의 날로 정한 것이다. 서해 수호의 날은 현충일, 6?25전쟁 기념일과는 다르다. 현충일은 대한민국 독립과 호국, 민주화를 아우르는 애국 영령을 추모하는 날이고 6?25전쟁 기념일은 6·25전쟁에 초점을 맞춰 국군과 유엔군 전사자를 추모하는 날이다.  이와는 달리 서해 수호의 날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서해수호를 위해 희생과 공헌한 호국영웅들의 숭고한 정신을 국민과 함께 기리고, 6·25 전쟁 이후 북한의 모든 국지적 도발을 상기하는 날로, 현재 진행형인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영원히 끊기 위해 전 국민이 하나 되는 서해 수호의 날이다.  2002년 6월 29일 한일 월드컵 축제에 전 국민이 들떠있던 때 서해 연평도 근해 북방한계선 부근에서 북한 경비정의 기습공격으로 우리는 여섯 장병을 잃었고 열아홉 명의 장병이 부상을 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2010년 3월 26일에는 서해 백령도 남방 해상에서 경계임무 수행 중이던 우리 해군의 천안함이 피격됐다.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서해바다를 지키던 46명의 호국용사가 차가운 바다 속에서 숨졌다. 천안함 피격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같은 해 11월 23일에는 북한이 연평도에 포격 도발을 감행하여 해병대 장병 2명과 민간인 2명이 희생됐다.  북한은 6.25전쟁 이후 총 2,660여회의 도발을 했다. 그 중 울진 삼척 무장공비 침투, 청와대 기습, KAL기 폭파, 강릉 잠수함 침투 등 주요 도발만 220여회를 감행 했다. 납치·부상·사망자만 3,700여명에 달한다. 최근에는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도발위협에 우리 국민들이 하나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천안함 폭침 때는 침몰 원인을 놓고 양측으로 나뉘어 분열했고 연평도 포격 도발 때는 대응방법을 놓고 양측으로 갈등하고 분열했다. 적 앞에서 단결해야 하는데 적전분열(敵前分裂)한 것이다. 북한은 끊임없이 도발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 장병들은 무고하게 희생하고 우리 국민은 갈등과 분열해 국론이 분열되는 악순환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국가안보가 중요한 이유는 국가의 목표는 살아남는 것 생존(生存)이다. 이를 위해서는 힘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힘은 경제력과 군사력으로 이루어진다. 지구상에서 가장 폐쇄적이고 위험한 북한정권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에게 전쟁 억제력은 무엇일까? 그것은 강한 힘과 스스로 지키겠다는 국민의 안보의지다. '전투는 군인이 하지만 전쟁은 국민이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국가안보는 온 국민이 하나되어 우리의 영토와 주권을 지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오늘날 세계 13위 경제대국이 된 것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고귀한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분들의 희생과 공헌이 헛되지 않도록 나라를 잘 지키고 보전하는 것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의무다. 제1회 서해 수호의 날을 맞이하여 한반도 위협의 주체인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상기하고 전 국민이 하나 된 힘만이 북한 도발을 영원히 끊는 길임을 명심하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