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국에 총 1200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한 클라우드가 전격 활용됐다는 소식과 함께 정부3.0 실현의 인프라 조성 등을 위해 클라우드의 역할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대구 혁신도시에 있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공공 클라우드 지원센터'가 5일 문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정부 3.0추진위원회 송희준 위원장, 미래부 최재유 2차관, 행정자치부 김성렬 차관, 조달청 정양호 청장, 권영진 대구시장과 유관기관 및 기업 등 100여명이 참석해 범국가 차원의 클라우드 발전을 위한 의지를 모았다.  공공 클라우드 지원센터는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K-ICT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계획'에 따라, 공공부문의 선제적인 클라우드 도입을 통해 공공의 혁신과 국내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견인하기 위한 지원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제도적·기술적 지원을 전담하게 된다.  공공 클라우드 지원센터의 주요 기능은 뀬클라우드 기반의 국가 정보화 정책 지원 △클라우드 선도사업의 발굴·지원 △클라우드 서비스 유통체계(클라우드 스토어) 운영 및 조달청 협력을 통한 클라우드 조달체계 확립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오픈 파스) 개발·보급 △공공 클라우드 테스트베드 시험 및 운영 △클라우드 이용자 콜센터 운영 등의 서비스 제공이다.  행사에 참석한 미래부 최재유 차관은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글로벌 시장의 추세임을 강조하고, 공공 클라우드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유관단체·기관이 협업해 제2의 정보혁명기에 우리나라가 클라우드 선도국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행자부 김성렬 차관은 "앞으로 전자정부는 클라우드 우선(Cloud First) 정책을 적극 추진해 ICT 산업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공 클라우드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전문적인 정책·기술 지원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달청 정양호 청장은 "공공부문부터 선도적으로 클라우드 이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특성에 맞는 조달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범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