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항의 명칭을 경주포항공항으로 변경이 추진되고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포항시를 비롯한 인근 지자체들의 반대가 지금까지는 표면화 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지난 총선에서 경주지역에 출마한 새누리당 김석기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면서 촉발됐는데 김후보가 당선됨으로서 가시화되고 있다. 김당선자는 지난달 20일 최양식 경주시장과 함께 이강덕 포항시장을 만나 포항공항의 명칭 변경에 대한 논의를 가졌으며 29일 포항MBC 초청 동해안 5개시·군 국회의원 당선인 좌담회 자리에서도 이 건에 대해 제안하면서 협력을 요청했다. 공항의 명칭변경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간단한 일이 아니다. 공항의 명칭변경은 이미 전국의 지방공항이 있는 곳은 대부분 한번끔 거론됐으나 성공한 예는 한군데도 없다. 대표적인 사례는 김포공항의 서울공항으로의 변경 추진이다. 국토부는 각국이 공유하는 우리나라 AIP(항공정보간행물)에 이미 등록된 공항 명칭을 바꾸면 각국 관제사나 국내에 들어오는 외국 항공기가 혼란을 겪을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청주공항도 대전이라는 지명을 병기하자는 주장과 아예 유명인사의 이름을 따 반기문 공항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는 주장도 제기된바 있다. 그밖에 대구공항을 박정희공항으로,무안공항을 김대중공항으로, 김해공항을 부산공항으로 변경하자는 주장이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다. 공항의 명칭 변경이 거론되고 건의 될 때마다 국토부는 지방자치단체 이익만으로 판단할 수 없고 공항 안전과 국제적으로 통용돼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한 번도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경주포항공항의 경우도 국토부의 승인이 이뤄질지는 아직까지 미지수다. 김당선자가 아무리 공항공사 사장을 지냈다 손 치더라도 공항명칭 변경은 타공항의 경우와 맞물려있기에 그리 간단한 일만은 아니다.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명분은 지금까지 공항명친 변경을 추진한 대부분의 지방공항이 공통적으로 내세운 명분이다. 이것만으로는 지금까지 변경을 승인하지 않은 국토부로 하여금 태도를 바꿔 변경을 승인하기에는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 경주시와 김당선자는 새롭고 강력한 명분을 개발해야 한다. 그 중 인근 지자체주민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동의는 큰 힘이 된다. 지역출신 국회의원과 단체장들의 협의도 중요하지만 주민들에게 직접 동의를 구하는 일 또한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에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직접 서명을 받는 일이 필요하다. 타 공항의 경우 해당지자체간의 이견속출이 결정적인 거절사유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주시가 무엇에 주력해야하는지를 제시해 준다. 또한 명칭변경이 법률적으로는 국토부장관의 승인사항이지만 국제기구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와 IATA(국제항공운송협회)에 통보, 사실상의 승인을 받아야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 이들 기구를 대상으로 한 사전 정지작업에도 심혈을 기우려야 한다. 경주포항공항 명칭변경을 위해서는 더 명확한 명분 발굴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