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등 세계적인 가속기 연구기관과 석학이 참여하는 가속기 분야 최대 규모 국제학술대회가 오늘부터 오는 1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한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최첨단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에 성공했음을 알리고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다는 목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제가속기컨퍼런스(IPAC2016)'를 금일부터 1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이 행사는 2010년부터 매년 대륙을 순회하며 열린다. 프랭크 짐머만 CERN 박사(차세대 원형충돌기 설계자) 등 전세계 36개국 180여기관 전문가 1300여명과 세계적 가속기 관련 기업 100여곳이 참여한다. 국제선형가속기(ILC), 신형 3세대 방사광가속기(MAX-Ⅳ), 한국 4세대 방사광가속기 등에 대한 기조강연과 8개 세션별 주제발표 등을 통해 최신 기술과 연구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가속기 관련 기업의 최신기술과 제품을 전시하고 대형가속기 건설에 있어서 연구소와 기업간 기술이전, 공동연구개발 등을 논의하는 산업세션을 통해 과학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도 도모한다. 가속기는 기본입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 목표 물질을 타격해 성질을 변화시키거나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빛을 활용해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대형 연구 장치다. 생명과학, 의학, 재료공학, 나노산업, 방위산업 등 다양한 기초과학 분야에 쓰인다. 가속기를 활용한 X-선 결정학 연구가 매년 노벨상을 수상하는 등 최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CERN 미래 원형충돌기(RCC·100㎞), 일본 국제선형가속기(ILC·31㎞/9조원), 중국 원형입자충돌기(52㎞), 유럽·스위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 등 각국이 대형 가속기 건설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은 시운전 14일 만에 설계 성능인 전자빔 에너지 10GeV를 달성한 4세대 방사광가속기 시운전 현황과 세계 최초로 두 가지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을 채택한 중이온 가속기(RAON) 건설현황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