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과 미사일 방어목적으로 주한미군이 우리 영토내에 배치하려는 사드문제는 이제 단순한 우리의 대북(對北)안보문제만이 아닌 한국과 미국에 맞선 중국·러시아 간의 심각한 갈등문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이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주한미군 차원의 사드 배치가 중국과 러시아의 안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는다고 설명을 하고 있지만 중·러는 지금까지 이를 믿지않고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사드의 유효범위가 북한지역에 국한된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안보이익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한국의 사드 배치여부는 우리의 군사주권에 속하는 문제지만 현실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를 의식하지않을 수 없는 입장에서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주로 유엔과 미국의 제제및 외교력에 의존해온 우리로서는 그동안 뚜렸한 성과를 거두지못한 점을 감안하면 이제는 제3의 카드를 준비하지않을 수 없다. 사드배치도 그같은 방법중의 하나인 것이다. 어떤 수단이든 북핵의 위기는 막아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중·러의 반발은 국내의 찬반갈등을 함께 증폭시키면서 사드배치 장소의 문제로 지역갈등마저 이르키고 있는 것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우리에게는 가장 긴급하고 필수적인 해결과제임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인 사드문제는 정치권을 포함한 여론의 찬반갈등으로 본말이 전도되는 상황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것은 안보문제를 풀기 위한 수단에 대한 갈등적 논의가 또하나의 안보불안을 불러오고 있는 꼴이다.  물론 사드의 한국 배치문제는 우리에게는 북한의 핵도발을 막기위한 수단이지만 중국과 러시아로서는 미국이 자신들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한 시각에서는 한국이 미국의 전략에 이용당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사드배치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주변국과 안보 갈등없이 북의 위협을 해소할 수 있다면 그것은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한반도 주변국 모두에게 불만없는 제3의 신통한 북핵해법은 나오지않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유엔의 대북제제와 개별국가의 제제방식 외에 미국은 비핵화 없는 대화불가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중국은 북한의 핵동결을 전제로 한 대화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우리는 미국과 같은 입장이지만 중국이 최근 남중국해문제와 관련 북한에 대한 경색국면을 완화하는 태도여서 제제일변도의 방식이 북한비핵화를 실현시킬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또한 미·중 두 나라 입장에서는 북핵문제가 여러 문제 중의 하나에 불과한 만큼 생존문제가 걸린 우리와는 이해관계의 차이가 있다.  북핵문제를 절대적으로 풀어야할 우리에게는 중국과 러시아의 대북완화정책은 북핵문제해결에 신뢰를 주지못한다. 한국의 사드배치는 북핵해결의 분명한 대안이 없는 한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다. 물론 사드배치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한민구국방장관의 발언이 사실과 어긋난다면 이를 반대할 수 있지만 그렇지않다면 우리에게 다른 선택의 여지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지금 국내 사드 반대론자들의 논리는 주변국과의 이해관계 설명에는 일리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북핵해결의 대안은 아니다. 우리 역사에서 임란 당시 왜국에 사신으로 갔던 김성일이 도요토미가 조선을 치지않을 것이라고 보고함으로써 엄청난 전화를 입혔던 사실을 생각하면 사드에 대한 무책임한 주장은 북핵문제 못잖은 불안을 몰고올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