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는 주민이 직접 선출한 주민의 대표기관으로 지방행정에 대해 의결, 입법, 행정감시를 하는 곳이다. 무엇보다 주민의 대표기관이라 할 때는 자신을 뽑아준 지역구 주민의 대표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주민 전체의 대표가 된다. 이를 혼동해 지방의원들이 마치 지역구 주민들의 '민원해결사'로서 전락하는 행태가 흔히 눈에 띈다. 최근 지방의원 일부가 곳곳에서 절도행각을 비롯한 댓가성 금품수수, 직권남용 등 갖가지 부작용으로 인해 지방의회를 없애야 한다는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14일 울진군에 거주하는 A씨 (64)가 자신 소유의 땅을 울진군에서 매입해 줄 것을 부탁하며 울진군 의원 3명에게 인당 수 백만원 상당의 현금을 돌린 것으로 드러나 대가성 금품수수 혐의가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이날 오후 2시 해당의원의 자택과 차량, 울진군의회를 압수수색했다. 울진군의회 C의원의 차량에든 가방에서 보관하고 있던 현금을 경찰이 발견해 수사 중이다. 이에 앞서 또 다른 울진군의원의 자녀는 신한울원전 3·4호기 예정지에 부동산 투기를 행한 사실이 알려져 지역이 시끄럽다. 게다가 울진군의회 의장이던 B씨는 지난해 5월 울산에 있는 한 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마치고 나오다 화단에 있는 분재용 소나무 한그루를 훔쳤다. 그는 불구속 입건된 이후 사건에 책임을 지고 의장직과 의원직을 모두 사퇴했다. 울진군에 이어 또 다른 지역의 영덕경찰서는 지난 2일 절도 혐의가 있는 영덕군의원 A씨를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A씨는 지난달 19일 영덕 병곡휴게소 조립식 건물 옆에 있던 문짝과 창틀(80만원 상당)을 훔쳤다. 봉화군의원들은 지난 2년간 업무추진비 등으로 등산복, 상품권을 구매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군의원 8명과 사무과 직원 12명은 한 벌에 수십만원짜리 등산복을 사 나눠 가졌다. 또 군의원들은 10여만원 상당 상품권을 사서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에선 지방의원 직권 남용이 문제가 됐다. 대구시의원 C(53)씨는 매장이 금지된 대구시립묘지에 지인 묘를 쓰려고 압력을 넣은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또한 前 대구 동구의원 A(58)씨는 지방자치단체 예산 2천400만원을 들여 민원이 있는 것처럼 꾸며 자기 땅에 농로와 수로를 냈다. A씨는 구의원 신분이던 2014년 2월 동구 상수원보호구역 땅 3천여㎡를 사들여 무단 형질변경하고 농사용 창고를 주거용으로 변경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징역 1년을 선고 받았다. 이와 비슷한 사건은 포항에도 있다. 포항시가 예산을 투입해 특정인 땅을 만들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하천 옹벽 공사를 해줘 지역주민들의 공분을 싸고 있다. 송라면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해 5월 유실된 보경사 중산리 하천 땅 수백평을 헐값에 매입하고 곧바로 시에다 민원을 넣어 '보이지 않은 손'에 의해 11월 추경예산을 받아 하천 길이 67m, 시비 4천만원을 투입해 하천정비 작업을 마쳤다. 게다가 하천에 자연 그대로 보존해야할 대형 자연석 수십여개를 하천정비 작업을 마친 자신의 사유지에다 불법으로 조경까지 해놓았다. 인근 주민들은 "세월이 지나도록 계절마다 닥치는 크고 작은 홍수에도 끄떡없는 하천을 시가 예산까지 투입해 특정인 땅에다 제방 옹벽공사는 분명 특혜"라며 철저한 조사가 필요다 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주관으로 실시한 지방의회 청렴도 측정 결과 전국 45개 지방의회 가운데 '포항시의회'의 청렴도가 가장 낮은 전국 꼴찌다. 청렴한 의회야말로 집행부를 제대로 견제할 의무이자 부패 없는 사회로 가는 지름길이다. 깨끗하지 못한 부패 의회라는 오명을 벗는 것은 모든 지방의원의 개인 몫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