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 입지선정을 사실상 백지화한 것은 대구 경북민의 간절한 염원을 불합리하고 불투명한 방법으로 짓밟은 것이나 다름 없다. 입지선정용역을 맡은 프랑스 파리공항공단(ADPI)엔지니어링팀이 기존 김해공항 확장안을 선정 발표하고 청와대가 이를 신공항이라 강변하고 있지만 지역민들은 이같은 발표와 해석에 전혀 납득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그 까닭은 신공항 입지선정용역이 2002년부터 8년간 6차례의 타당성조사 결과 '김해공항 확장안은 실효성이 없다'는 결론을 전제로 진행돼왔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기본전제 자체를 무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누가 봐도 합리적이라 할 수 없다. 청와대에선 김해공항 확장을 신공항건설이라 하지만 김해공항 확장안이 타당하지 못하다는 이전의 결론을 무시하고 되돌린 것을 어떻게 신공항이라 우긴단 말인가. 또한 용역기관은 평가항목에서 정치적 부분의 배점비중을 7%라 했고, 이 부분은 "누군가의 판단으로 고려했다"고 밝힌 것은 입지선정에 정치권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뜻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입지선정 후 지역민들의 반발과 정치적 후폭풍을 고려하고 정권교체 후 공항건설의 안정적 진행을 위한 것이라 했다. 그러나 그 같은 정치적 판단을 누가 했느냐와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남는다. 정치적 부분의 명쾌한 설명 없이는 입지선정이 정치적 힘에 휘둘렸다는 의심을 받을 수박에 없다. 그러나 영남권 신공항이 사실상 백지화된 후 대구, 부산, 울산, 경북, 경남 등 관련 5개 광역지자체의 반응은 상당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대체로 '김해입지'와 관련한 각 지자체의 현실적 이해득실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다. 개별 지자체의 이해관계에도 불구하고 신공항건설이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인 만큼 국가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적 영향없이 공정하게만 진행되었다면 결과에 승복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 때문에 관련 5개 광역지자체는 입지선정용역이 진행되는 동안 공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역이기적 행동을 자제하기로 결의를 한 것이다. 그러나 부산이 이 신사협정을 먼저 깨고 명색이 부산시를 대표하는 시장이란 사람이 '시장직'을 걸고 가덕도 유치에 나섰고 가덕도가 안되면 불복종운동까지 벌이겠다고 공언한 것은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행동이었다. 더욱 기가 찬 것은 이를 진정시켜야할 제1야당의 대표적 정치인을 비롯한 부산권 여야 국회의원들 마저 거들고 나선 것은 국민을 부끄럽게하는 정치수준을 보여준 것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부산의 이같은 과잉행동에 경고를 하기는 커녕 결과적으로 김해공항확장안을 채택함으로써 부산을 최대 수혜지역으로 만든 것이다. 아직도 수혜지역의 서병수 부산시장이 가덕도가 선정되지않은 것에 불만을 보이고 있는 것은 대구, 경북에서 볼 때는 표정관리를 위한 제스처같이 느껴진다. 결국 이번 결정에서 가장 무시당하고 홀대받은 지역은 대구,경북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구 경북민에게는 가덕도나 김해나 별반 다를게 없다. 부산을 선정하면서 이름만 달리한 것일 뿐이다. 김해안이 예산을 절감한다지만 그건 어떻게 건설하느냐에 달린것이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대구경북민의 마음은 착잡할 수 밖에 없다. 지역민들은 지난 대선때 '88대박'이란 구호대로 80%가 넘는 투표율에 80%가 넘는 역대 최대의 득표율로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그러나 이번에 납득할 수 없는 차별과 홀대를 받았다는 것은 심한 배신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