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2일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민간과 군(K-2 기지) 통합 이전을 약속한 것과 관련해 최대한 신속하게 대구공항 이전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1~2개월 내 부지 선정 작업이 완료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청와대가 대구공항 이전에 최대한 속도를 내기로 한 것은 이 문제가 다시금 정치적 이해관계에 휘둘리는 일이 없도록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해신공항으로 결론 난 영남권 신공항처럼 장기간 표류할 경우 지역 갈등과 정치권 분열 등이 되풀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도 전날 "정부 내에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서 지자체 및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대구공항 이전이 조속히 될 수가 있도록 추진해 주기를 바란다"며 대구공항 이전에 속도전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이 "대구 시민들도 공항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근 지역에 건설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한 만큼 경북에서 대구와 가까운 지역이 후보지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K-2 기지 유치에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예천군, 보잉사 공장이 들어서면서 항공산업 발전이 기대되는 영천시 등이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된다. 군위·칠곡·의성군 등도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총 사업비가 7조원대에 달하는 대구신공항 건설 비용 부담 문제가 남아 정부 방침과는 달리 공항 이전이 더디게 추진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K-2 공군기지와 민간 공항이 활주로를 함께 쓰고 있는 현 대구공항을 개발해 얻는 수익금으로 민간과 군이 통합 이전할 대구신공항 건설 비용을 마련해야 하지만 대구신공항 건설에 필요한 비용이 워낙 막대한 탓에 대구시가 기존 대구공항 부지 개발만으로는 비용을 모두 충당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때문에 대구시는 정부의 국고 지원을 바라고 있지만 청와대는 부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