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이 18일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우수 협력공인중개사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대내외 경제환경 변화와 정책변수 등 주택시장의 긍정·부정적 요인이 혼재하고 지역별 차별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어 일선 공인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전국 공인중개사 2439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반기 주택 가격 전망은 매매(55.1%), 전세(50.0%), 월세(63.3%) 모두 보합의견이 과반 이상으로 차지했다. 보합 응답자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 매매·전세는 상승 응답이 높고, 지방은 매매·월세의 하락 응답이 높았으며, 전세는 하락 보다 소폭 상승 응답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지역별, 거래유형별로 상이한 동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매매가격 상승 전망 이유는 금리 인하로 수요 증가(47.0%), 매매전환 수요 증가(30.3%),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및 분양호조(13.3%)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하락 전망 이유로는 신규공급물량 증가 부담(40.2%), 실물경기 침체(26.3%), 가격상승 기대저하(13.5%) 등을 이유로 꼽았다. 매매가격 보합 전망 주요 이유로는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한 관망세(62.0%), 상승요인과 하락요인 혼재(21.8%) 등의 응답이 많았다. 거래량에 대한 전망은 매매(47.8%), 전세(59.4%), 월세(64.2%) 모두 상반기와 비슷할 것으로 보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하반기 주택시장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대출규제 및 정책규제 강화(26.0%), 국내 경제 여건(18.4%), 대외 경기 변화(15.3%), 주택공급 물량 정도(13.7%), 국내 기준금리 인하(11.0%)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하반기 호황이 예상되는 주택 유형은 신규분양 아파트(26.1%), 재건축·재개발(22.7%), 기존아파트(11.8%), 아파트 분양권(11.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은 재건축·재개발 단지(26.2%), 지방은 신규분양 아파트(28.5%)의 호황을 예상하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또 침체가 예상되는 주택유형으로는 기존아파트(27.7%), 연립·다세대(13.9%)로 나타났으며, 수도권과 지방 모두 기존 아파트 침체를 예상하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