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상반기 수출실적은 대구와 경북 모두 전년 동기대비 감소세가 지속됐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대구 상반기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 줄어든 33억7300만 달러, 경북은 19.6% 감소한 182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대구의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부품(-6.7%), 폴리에스터직물(-7.7%)등 5개 품목에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펌프(60.1%), 인쇄회로(5.6%)등 5개 품목에서는 전년 상반기 대비 증가세로 반전됐다. 경북은 전체 수출비중의 17.2%를 차지하는 무선전화기(17.3%) 수출은 증가했으나, 평판디스플레이(-36.6%), 열연강판(-20.4%), 자동차부품(-23.0%) 등 기타 주력 수출품목에서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수출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구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보합세(1.3%)를 보이며, 일본(9.0%), 인도(1.2%) 수출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미국(-6.8%), 베트남(-23.1%)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다. 경북은 이와 반대로 미국(22.8%) 수출이 무선전화기기 수출 확대의 영향으로 유일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같은 기간, 대구 수입은 21억5200만 달러로 25.4% 증가했으며, 경북은 54억9200만달러로 15.8% 줄었다. 특히 경북 지역의 수출용 원자재 수입 감소세(-26.6%)가 커지고 있어 하반기 수출 회복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김규식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최근 발표된 3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가 100 미만으로 나타남에 따라, 하반기 세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에도 우리 기업들은 수출대상국의 경기와 국제수급 등 대외변수에 대해 여전히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세계경제의 변화에 따른 기회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수출 상승 원동력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