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이 JLL(Jones Lang LaSalle)과 지난 2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상업용부동산 시장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공동세미나를 열었다.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투명성 지수를 중심으로 부동산 투명화를 위한 발전방안에 대해 발표한 Jeremy Kelly(JLL Grobal Research Director)에 따르면, 투명성이 높은 시장에 글로벌 기업본사의 약 1/2 위치하고 세계 부동산투자의 75%가 집중되고 있어 선진부동산 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지속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투명성지수는 2014년 세계 43위에서 2016년 40위로 3계단 상승했으며, 토지·주택분야의 시장자료에 비해 호텔, 물류 등 비주거용 부동산의 시장자료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태평양지역 부동산시장의 투명성에 대해 발표한 Jane Murray(JLL, Head of Research, Asia Pacific)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투명성지수가 가장 일관성 있게 개선되고 있는 지역으로, 한국은 투명성 수준이 반투명시장(Semi-Transparent)으로 분류되며 카테고리내에서 점진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시장으로 밝혔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