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자동차를 대구의 신산업으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윤상현 박사는 18일자 '대경 CEO 브리핑(제481호)'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윤 박사에 따르면 앞으로 10여년 내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며 특히 자율주행차는 운전자 주행에 비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핵심부품 국산화 등을 범부처 협업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는 지능형자동차 선도도시를 표방하며 ITS부품시험장을 건설하고, 자동차산업의 스마트화에 대비한 경제협력권 사업으로 자동차융합부품산업을 선정해 미래형 자동차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건은 열악한 편이다. 윤 박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지역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체는 190개로 전국 대비 5.7%를 차지하며, 종사자 수는 1만2538명으로 전국 대비 4.7%에 불과하다. 그러나 윤 박사는 "전자부품, 광학기기, 제어부품, 시스템소프트웨어 산업 등 견고한 전후방산업이 발달돼 있어, 자율주행차동차의 산업적 발전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밝혔다. 이에 윤 박사는 4가지 핵심전략을 제시했다. 그 첫번째로 윤 박사는 인프라, 기술개발 등 지역의 다양한 사업들과 연계해 지역 자동차부품기업들이 단계적으로 자율주행차 부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기관중심의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지, 제어, 판단, 보안 등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요소분야에 지역 IT/SW기업의 진출 유도와 자율주행차 응용기술 개발을 위해 완성차업체와 IT업체 등이 참여하는 민간 주도의 협업생태계를 조성하는 혁신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의 주요 사업을 통해 자율주행차 관련 창의적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 기업 발굴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박사는 "지역 자율주행차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 법제도 개선, 인재양성 등 다각적 측면에서 정책적 보완 전략이 필요하다"며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대구국가산업단지 내에 미래자동차 연구단지를 조성해 국내외 앵커기업 유치와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은 인력양성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자율주행차 핵심 요소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민간기업들은 다양한 산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협업체계를 구축해 전후방 연관산업까지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류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