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과 미사일개발, 이에 대응하려는 우리의 자위적 '사드배치' 문제로 중국이 '북한' 편을 들며 온갖 위협을 가하는 가운데 세계경제의 침체 속에 우리 경제도 불황의 탈출구를 찾지 못하는 엄중한 상황이다. 이런 중첩된 위험과 불안 속에 우리의 생존과 활로를 모색하자면 통합적이고 합리적이면서 강한 리더쉽을 가진 정치지도자와 정부가 필요하다는 것이 국민의 여론이다. 그것은 국민의 뜻과 힘을 모아 난국을 타개하는 강한 정부, 정권차원의 사욕이나 부패에 얽매이지 않는 당당한 정부에 대한 기대이기도 하다. 이같은 국민의 기대가 현실적으로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염원하고 있는 의미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진박(眞朴)논쟁에서 비롯된 여권의 계파 분열적 행태가 4.13총선의 참패를 불러오면서 임기 말 박근혜 정부의 '권력누수'가 약체정부를 만들 것 같은 우려를 키웠다. 그런 측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총선직후 잠깐이나마 '총선민심'을 수용한다는 뜻으로 야당과의 소통과 '협치정신'을 보여준 모습은 이같은 우려를 잠시나마 불식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대통령의 통합적 리더쉽이 협치정신의 불씨를 계속 살려나간다면 국민들은 위기상황의 국가를 위해 총선결과에 관계없이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었을 것이다. 그어나 어찌된 일인지 총선후의 여권은 국민통합적 정국운영과 거리가 멀어지고 국민들도 현 정부의 성공이 걱정스러워진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여당은 전당대회을 통한 당지도부 구성에서 '도로 친박당(親朴黨)'이 됨으로써 민심과는 달리 'My way'를 고집하는 듯하고 청와대 역시 최근 우병우 민정수석의 의혹문제에서 같은 기조를 보이고 있다. 총선패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반성,뼈를 깎는 개혁 없이도 여당이 민심을 모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청와대 역시 의혹이 불거져 검찰의 수사를 받아야할 우 수석을 '현직'에 두고 오히려 이를 보도한 언론을 공격하는 것이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알 수 없다. 여소야대 국회의 임기말 정권이 국민일반의 상식과 민심을 거슬러 간다면 국정추진의 동력은 어디에서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 국정추진에 힘이 떨어진다면 국가적 난국을 어떻게 헤쳐 가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앞이 보이지 않는다. 이같은 상황에서 청와대 관계자는 우 수석 비위의혹과 관련, '부패기득권세력과 좌파세력의 식물정부만들기'라는 음모론을 제기 했다. 이석수 청와대 특별감찰관의 우 수석 수사의뢰와 관련, 이를 언론에 누설한 혐의를 '국기문란'이라 했다. 국민으로서는 진실로 놀랍고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국정운영의 책임을 진 정부를 '식물정부'로 만들려는 세력이 있고, 청와대내의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는 고위직 공무원이 '국기문란' 행위를 하는 일이 현실화되고 있다면 국가와 국민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같은 청와대측의 언급에 대해 절대 동의하고 싶지 않은 것은 우 수석 비리문제를 정당하게 밝히는 문제가 식물정부를 만들 것이라는 단정이다. 이 감찰관의 행위가 국기문란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검찰수사를 통해 규명되면 그것으로 그만이지만 '식물정부 운운'은 우 수석 혐의가 사실이든 무고든 '아니면 그만' 일 수 없는 발언이다. 물론 우 수석의 임무가 정부의 업무가운데 가장 중요한 업무중의 하나라 해도 그 자신도 공직자인 이상 문제가 생기면 법과 원칙에 따라 신변처리가 되는 것이 마땅하다. 설사 그의 신변에 이상이 생긴다 해도 정부가 마비될 수 는 없고 마비되어서도 안되는 것이다. 위기상황에 놓인 지금 '식물정부'를 함부로 말하는 자체가 위기를 가중시키지않을까.
홍 종 흠  시사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