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이 1일 감정평가 전문기관에서 부동산시장 조사·관리 전문기관으로 새 출발했다. 이는 1969년 정부출자 감정평가 전문기관으로 설립된 이후 47년 만에 설립 근거법인 '한국감정원법'이 제정·시행됨에 따른 것이다. 감정원은 이날 한국감정원법 시행일에 맞춰 동구 혁신도시 본사에서 뉴-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감정원은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하고 1일부터 시행되는 한국감정원법의 설립목적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안정과 질서유지' 관련업무를 전담하는 공적 기관으로 거듭나게 됐다. 지난 47년동안 수행해 오던 감정평가 수주업무는 중단하고 감정평가 타당성조사와 보상평가 및 담보평가서 검토 등 감정평가 심판기능을 전담 수행하게 된다. 또 감정원은 감정평가분야 외에도 부동산시장 전반의 적정성조사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리츠 검사,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가격, 아파트관리비 및 도시정비와 뉴스테이 등 각종 개발사업의 적정성과 타당성조사를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감정원은 기존에 수행하던 부동산가격공시와 각종 통계조사업무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며 시세조사와 정보제공 및 해외협력사업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감정원 변성렬 혁신경영본부장은 "감정평가 수주업무 철수로 줄어드는 450억원 상당의 수익은 단독주택 공시업무 전담과 보상수탁 및 녹색건축 관련수익 확대 및 감정평가서 검토와 부동산 시세조사, 해외사업 등으로 보강해 기능전환 이전의 수익을 초과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을 충실히 조정해 놓은 상태"라며 "감정평가 철수에도 앞으로 수지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한국감정원은 새비전 선포식에서 '부동산 시장의 안정과 질서 유지에 기여' 한다는 새 미션과 '세계 최고의 부동산시장 조사·관리 및 공시·통계 전문기관'이라는 새 비전을 선포했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