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업체들의 FTA 체결국 수출입 실적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구상공회의소 FTA활용지원센터가 발표한 2016년 상반기 대구지역 對FTA체결국 교역현황 조사에 따르면, 지역의 2016년 상반기 對FTA 체결국 수출입 실적은 40억5천만불로 전년동기(37억6천만불)대비 2억9천만불 증가(7.8%)해 지역전체 증가율(6.1%)을 상회했다. 그 가운데 수출은 24억2천400만불로 전년대비 1.2% 감소했으나, 지역 전체 수출(-3.4%)보다는 감소폭이 작아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도 FTA 체결국으로의 수출은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전체 수출입(55억2천만불) 중 FTA 체결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3.4%로 전국평균 68.5%를 4.9%p 상회해 지역의 FTA 체결국 무역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역수지는 7억9천500만불 흑자를 기록해 전년동기(11억4천600만불)대비 3억5천100만불 감소했고, 지역전체 무역흑자(12억1천900만불)의 65.2%를 차지했다. 주요 협정별로는 미국(3억7천500만불), 아세안(3억200만불), EU(2억400만불)는 흑자, 중국(-2억2천600만불)은 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품목 비중은 자동차부품이 14.2%로 가장 높았고, 기타철강금속제품, 폴리에스터직물, 고속도강 및 초경공구, 펌프, 인쇄회로, 합성수지 등이 뒤를 이었다. 수입은 기타정밀화학원료가 6.9%로 가장 높았으며, 전선, 자동차부품, 냉연강판, 합성수지 순이었다. 대구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중국, 베트남 등과 FTA가 발효되면서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건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에서는 FTA 활용 업무를 충분히 숙지하고 바이어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대구FTA센터에서 컨설팅, 교육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는 만큼 지역기업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류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