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포항, 울산의 국회의원들이 국회의원회관에서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 공감대 형성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마련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회의원 외에도 미래창조과학부, 산학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동해안연구개발특구'는 글로벌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비전으로 첨단 에너지부품소재, 첨단 바이오메디컬(바이오헬스), 에너지 자원개발 등 3개 특화분야로 정하고 있다. 특구지정 구역(안)은 총 23.1㎢ 정도(경주·포항 12.4㎢, 울산 10.7㎢)로 계획하고 있다. 경주와 포항을 포함한 경북은 포스텍, 한동대, 포항TP, 영일만 1·2·3 산업단지 등이 포함되고 울산은 UNIST, 울산대, 울산TP 일원, 산업단지(울산테크노, 매곡, 중산, 하이테크밸리, 장현, 에너지융합) 등이 포함된다. 동해안연구개발특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타당성 조사를 거친 후 특구지정(안) 관계부처 협의, 특구위원회 심의 의결 등을 절차를 거쳐야 지정된다.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특화분야에 대한 상용화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등 R&BD 지원(연간 국비 100억원 정도)과 함께,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에 대한 세제혜택(3년간 법인세·소득세 면제 등) 등을 받는다.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위해 특별법에 의해 지정된 특정구역으로 2005년 대덕특구를 시작으로 현재 광주·대구·부산·전북(2011년~2015년) 등 전국에 5개의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돼 육성되고 있다. 경주·포항과 울산은 그동안 '중후장대형' 산업구조에 매달려 있었다. 그리고 이 산업이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주요 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이 산업들이 후발 개발도상국들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저임금과 저가수주, 기술력 발전 등 이들 국가들은 끊임없이 우리의 뒤를 쫓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에서 자꾸 뒷걸음치는 우리의 산업은 지금 변신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차원에서 동해안연구개발특구의 지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중후장대형' 산업에서 '경소단박형' 산업으로의 전환이 지금 우리 경제를 살리는 일이다. 이상문(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