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국회인사청문회에서 서민들을 놀라게 한 것은 이들의 자질 (資質)이나 법적(法的)하자여부 보다 이들의 '사는 모습'이었다. 조 장관은 1년에 5억원씩을 썼다지만 그 내역이 분명하지 않고 김 장관은 수도권에서 93평 아파트에 7년간 살았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었다. 물론 자본주의 세상에 불법으로 번 돈이 아니라면 자기 돈을 제 맘대로 쓰는데 무슨 참견이냐고 할 수 있다.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을 보면 연간 5억원을 썼든, 93평에 살았든 할 말이 없다.  그러나 서민들로서는 같은 땅에 사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 돈을 쓰고 이렇게 어마어마하게 넓은 집에 사는 사람이 있다는데 놀라지 않겠는가? 부자들은 그 많은 돈을 어디다 어떻게 쓰는지 그 넓은 집에는 몇 식구가 어떻게 해놓고 사는지 서민들로서는 아무리 상상해봐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는다. 이 보다 더 눈을 휘둥그렇게 했던 것은 모 언론사 주필 겸 편집인이 조(兆)단위의 금융지원을 받은 부실대기업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받았다는 2억원대 접대내용이다. 세계적 재벌들이 탄다는 초호화여객제트기와 초호화요트는 제시된 사진을 보는 것도 처음인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이 언론인의 '도덕적 해이'는 법에 따라 처리되겠지만 그 보다 대기업이 교제하는 방법과 돈쓰는 풍속이 서민들의 머리로는 도무지 짐작이 되지 않는 별세계란 사실을 이번 기회에 살짝 엿보게 한 것이다. 장관청문회에서 드러난 지배계층의 사는 모양과 대기업의 초호화판 언론로비가 같은 맥락으로 볼 수는 없지만 전체적으로는 우리 사회 상위 계층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같은 일련의 사실에서 누가 장관이 되었든 어느 언론사의 간부가 연루되었든, 서민들은 그것이 특정한 개개인의 문제라기 보다 극단적으로 이질화된 우리 사회의 양극화문제에 허탈할 따름이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조사한 바로는 한국소득 상위10%의 소득집중도는 44.9%(2012년기준)로 47.8%를 기록한 세계1위의 미국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이 '소득양극화'면에서 세계 2위 국가가 되었을 만큼 매우 심각한 상태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 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통계에 잡히지 않고 있는 자산불평등 정도 등을 고려하면 소득양극화는 이미 미국을 앞질렀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더욱 암담한 것은 이같은 양극화의 진행속도가 1997년 IMF관리체제를 겪은 뒤 세계주요국 가운데 가장 빠른 데다 양극화를 완화시킬 실효적 정책이 마련되지 않아 앞으로도 급진전될 전망인 점이다. 이같은 현상은 금융위기후 경제성장 과실의 대부분을 10%의 계층이 차지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양극화 현상은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다른 나라에서도 일반화되고 있는 경향이나 그 중에서도 상당수 나라들이 부의 집중을 완화하는 정책으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같은 소득집중으로 대기업의 '사내유보자금'이 무려 34조원에 이르고 있으나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는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또한 이같은 부의 집중은 최근 현직 검사장을 비롯한 검찰간부, 현직부장판사등이 연루된 사법부의 비리와 공직자가 관련된 대기업과의 유착관계 등에서 보듯 비리와 부패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과도한 부의 집중은 이같이 시장경제 질서를 문란시켜 자유시장경제체제를 위협하고, 중산층의 몰락으로 민주주의체제를 위태롭게하고 있다. 내년 대통령선거는 우리 체제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무엇보다 양극화해소의 실효적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