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당한 국감거부 소동이 끝나고 계획기간에서 빠진 날짜를 채우는 기간연장을 포함, 본격적인 국정감사가 시작되었다. 김이 빠지긴 했어도 20대국회의 첫 국감이고 박근혜정부의 마지막 국감인 만큼 국민들의 기대는 다른 어느 때 보다 크다. 여소야대 국회로 국회권력이 야당으로 넘어간 상황에서 국감을 통해 현정부의 자잘못을 분명하게 밝히고 국회차원의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내년 대선이후 국가발전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국감은 내년 대선을 의식한 여야의 정치적 기싸움으로 변질 가능성이 큰 데다 김재수장관해임건의안처리 문제가 미봉으로 수습됨으로써 여야의 감정적 앙금이 다시 불거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국감이 정쟁을 재발시켜 산적한 민생문제를 심도있게 파헤치지못하고 국민적 의혹의 대상이 되는 여러 사안들마저 제대로 해소하지못한다면 20대국회에 대한 국민적 희망은 물거품이 되고 말것이다. 특히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건국이래 최대의 안보위기를 조성하고 저성장과 불경기 등 경제위기 또한 국민경제를 파탄으로 몰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당리당략적 정쟁은 망국적 정치행태로 매도될 것이다. 물론 국정감사는 국회와 정부가 창과 방패에 비유할 공격과 방어의 행태를 가지는 것이 당연한 것이고 아무래도 여당은 정부에 대한 야당의 부당한 공격을 비호하는 것이 정당제 국가의 상식이다. 그런 만큼 상식과 순리의 수준을 넘어서는 비이성적 정쟁은 정치의 정도가 아닌 것이다. 지난 번 국회본회의 때 처럼 무리하게 해임건의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야는 물론 사회를 맡은 국회의장 마저 중립성 위반에 휘말려 국회가 마비되는 상황은 결코 국민을 위한 정치가 아닌 것이다. 정쟁의 결과는 국정감사의 지연과 정치권 전체의 불신만 가져왔을 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것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는 정부부처에 대한 일반적 업무감사 외에도 지금까지 드러난 국민적 의혹사안만 해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세간의 의혹을 싸고있는 우병우청와대 민정수석 관련 문제,이른바 권력실세로 회자되는 최순실 관련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의혹, 검찰개혁 관련 공수처신설문제, 백남기농민 사인과 사망진단서논란 등이 그것이다. 여야가 대립할 폭발성있는 문제들이 뇌관 처럼 도사리고 있다. 이들 의혹들도 사실과 증거를 근거로 핵심내용을 파헤처 국민적 의혹을 확실하게 풀어야 할 것이다. 아무런 근거도 제시하지못하면서 말만 거창하게 상대의 인격에 상처를 주고 감정을 건드려 공연한 정쟁을 유발하는 것은 의혹을 풀기는 커녕 되레 감싸는 결과를 낳게되는 것이다. 사퇴하지도 않을 김재수장관의 해임건의안 처리로 국감이 마비됨으로써 정부의 각종 의혹을 해소할 국감기간을 단축시킨 것이 그 교훈이라 하겠다. 여당의 경우도 무턱대고 정부편만 든다면 아무리 여당이라도 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해야하는 헌법기관으로서 국회의원의 본분을 망각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을 것이다. 특히 현안이 된 의혹들은 국가기강과 부패척결의 과제이면서 국민의 최대 관심사인 만큼 야당의 정당한 의혹해소요구에는 흔쾌히 동의하고 문제재발을 위한 대안 마련에도 함께 나서야할 것이다. 여당이 국민적 의혹을 푸는데 방해세력으로 비친다면 내년 대선에서 당연히 심판을 받게 될 것이고 이 문제들은 두고두고 정부여당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다. 야당 또한 알맹이없는 질타식 문제제기로 의혹해소에 실패한다면 여소야대로 기세가 오르던 것도 잠시뿐 내년 대선에서는 엄중한 심판을 받게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