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해외연수는 목적과 결과가 뚜렷해야 한다. 시민의 세금으로 이뤄지는 연수이기 때문이다. 그럴듯한 명문과 제목을 붙여놓고 실상은 현지에서 관광 일정을 소화하는 것이 그동안의 관행이었다. 더러는 음주와 추태를 벌여 귀국 후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공무원의 해외연수도 문제지만 국회의원이나 지방의회 의원들의 해외 연수는 더 심각하다. 공무원들은 특정한 업무와 연계된 연수가 많은 반면 의원들의 연수는 대개 선진지 견학이 주된 목적이다. 그 연수의 목적과 결과가 합당한지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고 수시로 시민단체의 지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됐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수 계획단계에서부터 목적과 일정을 철저하게 공개해야 한다. 시민들에게 공개해서 연수의 목적이 타당하다는 합의를 얻고 난 후에 떠나는 것이 옳다. 그리고 다녀와서는 그 결과도 공개해야 한다. 연수를 다녀온 결과물이 없다면 그 연수는 헛된 발걸음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공무원이나 의원 모두에게 해당된다. 최근 들어 많은 지자체에서는 공무원의 해외연수 방법을 배낭연수로 돌렸다. 자신들의 업무와 병행해 해외의 좋은 사례를 직접 보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떠나는 연수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처음부터 거품을 뺐다. 신청자가 직접 항공권과 숙소를 예약하고 일정을 소화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그리고 철저한 심사를 거쳐 예산을 집행한다. 다녀와서 전체 공무원이 보는 앞에서 연수 결과를 보고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어느 기초의회는 연수 이전에 주민들에게 계획을 설명하고 다녀와서 주민들을 모아두고 보고회를 열어 정보를 함께 공유했다. 이것이 공직에 있는 이들의 바람직한 태도다. 해외의 선진화된 정보를 습득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책상머리에 앉아서 기획하는 정책보다 생생할 수 있다. 진정한 의미와 목적이 있다면 공무 해외연수는 말릴 이유가 없다. 다만 그 과정이 투명하고 성실해야 한다는 점만 인정한다면 시비가 있을 수 없다. 이상문(칼럼니스트)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