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로 성난 민심이 전국적으로 대통령 '하야(下野)'를 요구하는 시위(示威)로 번지기 시작했다. 최씨가 박근혜 대통령과의 사적 관계를 악용해 국가예산부당특혜, 재벌에 대한 강제모금,각종 국정개입과 딸의 부정입학 등의 의혹이 쏟아지면서 헌정문란과 국정파탄에 대한 대통령 책임을 묻기 위한 것이다. 아직 이 사건은 수사를 통해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법적 잘못에 대해 특정할 수는 없지만 끝없이 터져 나오는 '비리(非理)와 국정농단' 혐의에 대한 증거들이 박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을 미룰 수 없게 만들고 있다. 특히 의혹이 최순실 게이트에서 '박근혜 게이트'로 바뀔 정도로 확산되면서 박대통령에 대한 콘크리트 지지층이라는 30%대가 무너지고 14% 이하로 까지 내려앉은 것이다. 이미 대통령은 대부분의 국민으로부터 외면받고 이 사건으로 국민들이 수치감과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서 더 이상 국정운영을 총괄할 수 있는 동력과 신뢰가 떨어진 것이다. 국민들의 분노는 대통령의 하야를 주장할 만큼 폭발적인 상황에 이른 것이다. 국민들의 감정대로라면 당장의 대통령 하야가 속시원한 결단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많은 국민들은 하야로 인한 '헌정중단과 안보위기', '경제의 추락' 등 국가파탄으로 치닫을 것 같은 공포감도 가지고 있다. 대통령에 대해 당연히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겠지만 여야와 국민들이 지혜를 모아 헌정중단과 위기초래 없이 최순실 게이트를 성역(聖域)없이 파헤치고 엄정한 법적, 정치적 책임을 묻기를 바라는 것이다. 늦었지만 문제가 된 청와대 수석들과 이른바 문고리3인방에 대한 인사조치로 최순실 게이트의 수습은 첫 단추가 끼워졌지만 아직은 특검 방법에서부터 정치권에서 주장하는 거국내각·책임내각문제까지 갈 길이 멀다. 자칫 수습문제가 지지부진하고 박대통령의 결단이 우왕좌왕한다면 하야와 탄핵의 목소리가 더 커지고 국가적 위기가 한꺼번에 몰려올 수 있는 참담한 처지에 놓일 수도 있다. 지금 외신보도 대로 북한의 위협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의 현사태를 자국의 이해관계와 결부시켜 분석하고 있는 주변 강대국들의 동향을 보면 등골이 서늘하다. 이 문제에 대한 최선의 수습책은 먼저 박대통령과 여당이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심정으로 자신의 안위나 정치적 기득권을 내려놓고 오로지 국민에 사죄하는 마음으로 국민의 뜻에 따라 결단과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특히 여당 지도부의 책임은 대통령의 책임 못잖다는 점도 각성해야한다. 여당은 성역없는 수사와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촉구했지만 야당은 더민주와 국민의 당 모두 엄정한 수사촉구와 정부에 대한 공격의 강도를 높일 뿐 대통령의 정치적 책임에 대해선 요구가 분명치 않다. 물론 야당으로서는 대통령이 봐주기식 수사로 유야무야 넘기려는 것을 경계하고 대통령과 여당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통령의 정치적 책임과 향후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야당이 주도적으로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해야할 책무가 있다는 점도 알아야한다. 물론 대통령과 여당이 수습과정에 잘못을 범한다면 협조할 필요가 없지만 헌정중단과 위기상황극복을 위해 여야가 합의된 방안을 만들고 실행하는데 야당이 주도적인 능력을 보여야 할 것이다. 야당의 이같은 노력은 대통령과 여당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한 비판은 말할 것도 없고 집권 대체정당으로써 국민에 대한 의무인 것이다. 이같은 의무와 함께 야당도 최순실 게이트가 이같이 엄청난 의혹으로 번지지기까지 국회의 국정감시기능을 얼마나 성실하게 수행했는지도 반성해 볼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