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의 '촛불집회'는 박근혜 정권의 퇴진(退陣)을 요구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성난 민심(民心)'을 보여준 것이다. 박 대통령의 최측근 '최순실'이 대통령을 업고 국정을 농단하고, 사회 구석구석에 비리를 저질렀지만 정부와 청와대 고위직 인사들은 이를 적발하기 보다 엄호(掩壕)한 혐의가 국민적 분노를 폭발시킨 것이다. 대통령이 두 차례나 사과했지만 진정성을 보여주지 못했고 오히려 불꽃 같이 타오르는 국민의 분노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다. 이제 박 대통령의 선택은 국민의 뜻을 받아들여 퇴진하는 길 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퇴진한다 해도 눈앞에 닥친 외교 안보의 난제들과 경제위기를 내팽게친 체 대통령 직(職)만 포기한다면 나라의 앞날은 어떻게 될까? 물론 퇴진방법에 따라 위기를 최소화할 수도 있겠지만 차기정권 집권경쟁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결단은 쉽지 않을 것 같다.  물론 대통령이 잘못의 책임을 외면하고 임기 말까지 국정운영을 계속하겠다면 더 큰 국민적 저항에 부딛 칠 수 있다. 그렇지않고 퇴진을 결심한다면 야당들도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고 차기정부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협의하고 도와주는 것이 국가와 국민을 위한 최선의 길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의 퇴진은 차기집권을 노리는 대권후보들에게는 집권의 기회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국정공백을 막고 집권 연착륙할 수 있는 능력을 시험받는 시험대이기도 하다.  특히 현재 행정권력의 정당성이 손상된다면 국민 대표성을 위임받은 국회가 행정권의 정당성을 뒷받침할 수 밖에 없다. 그중에서도 정부와 공동책임이 있는 여당 보다 야당에게 더 큰 역할을 기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야당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동시에 야당이 이같은 난국수습에 최선의 리더쉽을 발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예의 주시하는 것이다. 그중에서 야권의 대권주자들은 차기대권경쟁에서 최순실 사건으로 지리멸렬한 여권대권주자에 비해 더욱 주목받을 수 밖에 없다. 동시에 현재 보여주고 있는 야권주자들의 리더쉽은 대권후보 검증에 해당하는 국민적 평가를 받게 되는 것이다.  대통령의 퇴진방법은 정치적인 방식으로는 '하야'와 '과도내각출범', '대통령의 2선 후퇴'와 여야합의의 '거국중립내각출범 '등이 있고 헌법절차에 따른 방법으로는 '탄핵소추'가 있다. 최순실 사건후 야당은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 무총리지명과 영수회담등의 제안이 있었지만 여러가지 전제조건을 붙여서 이를 거부했다. 야당의 정국수습 제안들은 수시로 바뀌었고 야당끼리도 제안에 차이가 있어 청와대와 여당이 조율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대통령의 리더쉽이 붕괴된 마당에 안보,외교,경제 등의 문제에서 시급성을 요하는 사안을 현행헌법체제에 맞게 처리하는 방안을 찾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국민들은 이같은 백척간두의 국가위기 앞에 잠이 오지 않을 지경인데 지난 촛불집회에서 보여준 야당대권후보군들의 얼굴에 짙게 깔린 웃음끼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촛불을 든 100만인파가 모두 그들의 편이라 생각한 것인지,아니면 100만인파의 물결이 자신들을 저절로 대권의 권좌에 올려줄 것이라 생각하는지 알 수 없다. 만에 하나 그런 생각을 했다면 크게 '오산'을 했다고 지적하고 싶다. 촛불민심은 1차적으로 박대통령의 국정파탄에 대한 분노이고 깊이 들여다 보면 여야정치권을 포함한 기득권세력과 양극화심화 등에 대한 국민적 불만의 폭발이다. 야권이 이 정국을 대안없이 이대로 즐기려고만 든다면 촛불은 '야당'에도 옮겨 붙을지 모른다는 사실을 알아야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