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건설현장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원격 안전관리시스템'이 도입돼 건설현장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달부터 고속도로 건설현장에 '위험작업장 원격안전관제(remote control)'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위험작업장 원격안전관제'는 작업자 안전모에 소형캠코더를 장착해 현장상황을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지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관리자는 근로자의 안전모에 부착된 라이브 캠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된 현장상황을 휴대폰, PC 등으로 모니터링한 후 안전관련 미흡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지시를 내릴 수 있게 된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작업여건 상 관리자가 입회해 안전작업여부를 지휘·통제할 수 없는 소수 근로자 주도의 '단독작업' 시 발생하는 재해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원격안전관제가 실시되면 뀬현장 내 모든 참여자가 함께하는 '다자간 안전관리'가 가능해짐은 물론 뀬 같은 시간대에 작업 중인 여러 구간의 동시 관리가 가능해지며 뀬현장 내의 안전사각지대가 사라져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공사는 재해예방을 위해 '건설현장 안전방송'도 실시한다. 안전교육장, 식당 등 근로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된 TV를 통해 안전방송을 시행함으로써 안전수칙이 근로자들의 몸에 자연스럽게 배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방송되는 주요 안전수칙 내용은 일일 작업별 안전수칙, 위험요인과 예방대책, 기상현황에 따른 안전수칙, 현장 내 긴급공지 사항 등이다. 근로자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내용의 반복 방송을 지양하고 사진·동영상 등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공사는 '국민안전 강화'라는 정부정책에 부응해 다양한 재해예방기법 개발과 제도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범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