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 일대가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의 요람'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동해안 일원 원자력관련 인력양성기관으로는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포스텍, 동국대, 위덕대, 글로벌원전기능인력양성사업단 등이 있다. 경북도는 동해안 지역을 국가 원자력산업의 전초기지로 조성하고자 '2012년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는 경북 동해안에 위치한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지역을 중심으로 2028년까지 13조 4천550억원을 투자해 '연구개발', '산업생산', '인력양성', '친환경 인프라'를 집적시키는 대규모 원자력 복합단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올해로 6년째인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 중 가장 성과가 두드러진 분야가 인력양성으로, 단위사업에 대한 시너지와 신규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현실로 만들어 가고 있다. 경북도는 국내 원전 건설 및 원전 수출 등에 따라 필요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 원자력 기술과 현장지식을 습득한 맞춤형 기술인력 육성 체계 구축과 체계적인 원자력 전문 교육을 통해 우리나라 원자력의 미래를 책임질 전문 연구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 중 '인력양성사업 성과'가 가장 돋보인다. 먼저, 경북도는 원전 기술인력 전문 육성을 위해 경북 울진에 위치한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등학교'에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5억7천만원을 연차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전문 연구 인력 양성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도내에 위치한 포스텍 대학원, 동국대 경주, 영남대, 위덕대 4개 학교에 원자력학과와 전공을 개설하고 올해까지 지원해 왔다. 매년 100건 이상의 연구논문을 발표해 2015년까지 지난 5년간 총 751건의 원자력 관련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경북도내에는 상용 원전 24기 중 12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상용 원전의 50%와 국내 유일한 중·저준위방폐장과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원전 관련기관, 기업, R&D 시설 등을 경북으로 모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등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을 통해 일자리가 창출되고, 소득이 증대되면 소비 활성화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선 순환구조를 갖추게 된다.  권영길 경상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되면 14만6천명의 고용유발효과와 원전 전문인력이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해 나가면서 산업생산, 연구개발, 친환경 인프라 사업 유치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제2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수소실증단지, 원자력수출산업단지, 원자력기술표준원, 원자력테마파크, 원자력병원 등 원자력 관련기관 지역유치와 설립에 더욱 박차를 가해 경북 동해안을 명실상부한 원자력 산업의 실리콘벨리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서인교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