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 형태가 정착되면서 레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런 추세로 등산 인구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등산은 사계절 내내 가능하지만 특히, 겨울철 산행은 눈길 및 빙판길로 인한 추락 사고 등 여러 가지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음으로 대처요령을 미리 미리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 지금부터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도록 겨울철 등산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알아보자. 첫째, 모든 야외 활동의 기본은 장비를 제대로 갖추고 사용하는 것이다. 겨울철 산행의 복병은 갑자기 내리는 눈과 빙판길이다. 눈길을 오른다는 것은 미끄러짐에 의한 추락사고와 골절 등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른 손상 형태도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 안전한 등산을 위해 먼저 미끄러짐을 방지해주는 아이젠과 방수 소재로 된 스패츠를 챙겨야한다. 아이젠은 등산화 바닥에 부착해 미끄러짐을 방지해 주는 등산용품이고, 방수 스패츠는 눈으로 신발이 젖는 것을 막아주어 동상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기온 변화에 주의하고, 일몰시간을 기억해야 된다. 겨울철 산악지형의 기상 특징 중에 하나가 급격한 기상 변화이다. 산행이 시작 될 때는 따뜻하고 맑은 날씨가, 갑자기 폭설이 내리고 기온이 급강하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해발고도에 따라 0.6℃ ~ 1.0 ℃ 안팎의 온도 편차가 발생되며, 뿐만 아니라 바람으로 인해 체감 온도는 더 떨어진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옷을 여러 겹 겹쳐 입는게 유리하며, 겨울 산행은 평상시 보다 에너지소모가 많기 때문에 중간 중간에 적절히 휴식을 취해야한다. 또한, 겨울산은 다른 계절에 비해 일조 시간이 짧아 오후 4시만 되도 해가지기 시작한다. 어두워지기 두 시간 전에 하산해야 되며, 하산이 늦어질 경우 랜턴 같은 야간산행 장비를 꼭 갖춰야 된다. 그 외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도 있는데 여러 가지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여분의 휴대폰 배터리를 챙기고, 랜턴 및 비상식량을 챙겨서 체력 소모에 따른 혈당 저하에 신속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다 등산로 곳곳에 보면 긴급구조 위치 표지판이 있는데 이를 알아두면 119에 신고 할 때 정확한 위치를 설명할 수 있고, 신속하게 구조를 받을수 있다. 산악구조 출동을 나가보면, 구조대원이 요구조자(조난자)와 전화 통화를 하면서 빨리 구조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지만, 요구조자가 소방관이 아닌 친구나 가족들과 장시간 통화하는 경우가 많아, 위치 파악이 늦어지고, 결국엔 휴대폰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어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입산이 금지된 곳으로 등산을 하지말고, 개방된 정규 등산로만 이용해야 되며, 심폐소생술 등 응급조치 요령을 배운다면 가족뿐만 아니라 동료들의 목숨을 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전은 언제, 어디서나 중요하지만 특히, 겨울철 산행의 경우 안전수칙을 더욱더 잘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