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의 '인적청산'이 가시화 되고 있다. 이정현 전 대표가 탈당한 후 친박 중진 정갑윤 의원이 탈당 의사를 밝혔고 홍문종 의원이 인 위원장에게 탈당 여부를 위임했다.  그러나 원조 친박인 서청원 의원은 "탈당은 스스로 결정할 문제지 누구에게 등 떠밀려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며 불쾌한 뜻을 비췄고, 최경환 의원은 "탈당을 강요하려면 차라리 나를 죽여라"고 격한 발언을 쏟아냈다. 여기에 정갑윤 의원의 탈당 소견은 귀기우릴 만하다. 정 의원은 "새누리당의 혁신을 위해 인명진 비대위원장을 추대했지만 이후 당원들이 국민들이 기대했던 혁신적 모습이 좀처럼 보이지 않고 우려했던 것처럼 당의 상황이 간단치 않다"며 "인 비대위원장이 수락 인사에서 '새누리당이 죽어야 보수가 산다'고 말씀하셨지만, 막상 죽으려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고 말했다. 또 "여당의 중진으로서, 새누리당과 보수정치의 위기를 두고 볼 수만은 없기에 이제 내가 나서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며 "선당후사의 심정으로 책임정치를 보여주는 것이 지금 국민과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분들에 대한 도리라고 판단했다"며 탈당 결심의 이유를 밝혔다. 바로 이것이다. 국정농단의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고 버티지만 이 정권을 만드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던 새누리당, 특히 친박계는 국정농단의 공범이라며 국민의 지탄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정농단 사건이 불거졌을 때 어느 누구 하나 책임을 통감하고 정계를 물러나겠다고 나선 사람이 없었다. 인명진 비대위원장이 나서 인적청산의 칼날을 휘두르자 서서히 탈당이 이뤄지고 있다. 정갑윤 의원은 만시지탄이 있지만 그의 발언이 시사하는 바는 새누리가 가야 할 길을 밝히는 것이어서 환영할 만하다. 대구 경북의 초선 의원들은 이 시점에 어떤 모습을 보일지 귀추가 집중된다. 그들은 비교적 자유롭지 않은가. 이 땅의 진정한 보수를 지키기 위한 그들의 역할은 한국 정치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수도 있다. 국민들이 보고 있다. 이상문(칼럼니스트)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