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문화융성,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 등은 모두 축소, 통폐합한다라고 발표했다. 박근혜정부가 출범하면서 문화융성을 국정지표로 내세울 때만 해도 마치 들불처럼 문화가 꽃을 피울것으로 기대에 부풀었다. 이건 마치 그동안 암흑의 시대가 종지부를 찍고 예술인들로 하여금 창작의욕에 힘찬 기운을 불어넣어 한국판 르네상스가 열리는 듯 해 보였다. 그래서 상주시도 문화와 예술을 한데 어울려 문화융성과라는 조직으로 문화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자 패러다임을 선도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면서 정부가 내세운 문화융성에 호흡을 같이 하고자 했다. 그런데 정작 작금에 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말 자체만으로 해도 최순실이라는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것 같고 마치 몇 사람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의도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찍히고 만결과를 놓고 보면 문화융성과라는 행정조직의 존폐여부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다. 정부에서조차 문화융성이라는 모든 사업을 축소 통폐합한다고 선언한 마당에 상주시의 문화융성과는 어쩌면 낙동강 오리알과도 같은 처지일 수도 있다는 의견들이 있다. 물론 지금까지는 물론이고 앞으로도 문화융성과는 지역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과 협력을 하겠지만 세상 모든 일이 그러하듯이 문화융성이 내포하고 있는 진정한 의미가 이미 퇴색되어버린 마당에서야 굳이 상주시가 고집할 필요가 있을까 해서이다. 문화융성과 보다는 문화진흥과, 문화예술과 라던지 하는 조직명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 문화예술인들은 물론이고 일반 시민들도 곱지 않은 시선임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어차피 정부에서 먼저 문화융성에 대한 국민적인 거부감을 지워버리고자 이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시점에서 상주시도 문화융성과에 대한 의미있는 시민의견을 수렴했으면 하는 바램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