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소국의 생존과 발전은 자국의 주권의식을 잊지 않고 스스로 힘을 길러 약자의 입장에서 벗어나는 길 뿐이다. 약소국이 스스로 강해지지 못한 채 강자와 강대국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은 언젠가 강한 보복(報復)이 돌아올 가능성을 안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설사 약자의 연대나 강자끼리의 갈등을 이용한 책략 등으로 일시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해도 그것은 결코 지속적일 수 없는 것이다.  최근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패권적 태도에 우리 국민들의 대응자세가 경우에 따라 실력 이상으로 넘치거나 지나치게 위축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 같아 이같은 근본문제를 되돌아 보게 된다. 특히 국가의 리더쉽 공백이 외교안보공백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강대국에 지나친 굴종적 자세도 화근이 될 수 있지만 감당하기 어려운 강경자세도 불안의 씨앗이 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방어를 위한 성주지역의 사드배치 문제를 둘러싸고 이를 반대하는 중국에 더민주당이 국회의원들을 보내더니 이번에는 장소를 제공하겠다던 롯데그룹이 실행(實行)을 머뭇거리고 있다고 한다. 중국이 우리와 주요 교역국이면서 비관세장벽의 무역보복과 세무압박 등으로 우리에게는 엄청난 경제적 피해를 가져오는 만큼 우리가 예민하게 대응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은 중국이 우리와 수교당시부터 '정경분리원칙'을 앞세웠던 만큼 우리의 군사주권에 속하는 사드배치문제를 경제문제와 연계시키는 것은 분명이 강대국의 횡포(橫暴)라는 사실이다.  더욱이 우리의 생존문제가 걸린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는 북한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중국이 북한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우리에게 이같이 공공연히 간섭하는 것은 강대국의 패권적 태도라 하겠다.  미국이 최근 일본의 기지 내에 들여오기로 한 정보수집장비가 한국에 설치하려는 사드 보다 더 넓은 범위의 성능을 가졌지만 이에 침묵하는 것도 중국의 이중적 태도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한일 관계문제로 부산에서는 '위안부문제합의무효화'를 주장하며 시민단체들이 주한 일본 부산영사관앞에 소녀상을 세운 것을 계기로 일본이 주한일본대사 등을 소환하는 등 외교문제가 발생했다.  말할 것도 없이 일본의 위안부문제에 대한 태도는 지금까지 근본적 반성과 사죄가 결여된 것이고 '12·28 위안부합의'도 이같은 일본의 태도를 미봉한 것에 불과했다. 특히 생존 위안부할머니들 가운데 이 합의에 동의하지 않는 분들이 있다는 점에서도 정부의 성급하고 미숙한 합의에 불만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 합의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한일간의 정보공유를 위한 한일군사비밀보호협정체결과 연계되었다는 점에서 불가피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측면도 있다. 일본이 국력의 우위를 앞세워 도덕적 책무를 외면하는 태도는 인정할 수 없지만 안보문제와 관련한 협력은 도외시할 수 없는 일이다. 주변 아세아권 국가들간에는 역사적으로 많은 은원관계들이 존재한다. 한미간에도 6·25당시 군사지원의 은혜가 있었지만 일제침략기에 일본을 도운 원한도 있었다. 한중간에도 수많은 문제가 있었고 중일간에도, 한-베트남간에도 많은 문제들이 있었지만 소녀상같은 것을 상대국 공관앞에 세우지는 않았다.  우리가 강대국이 되지 않는 한 상대가 우리에게 사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더 이상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서도 지금 우리가 겪는 일에 일희일비하기 보다 근본적으로 국력을 기르는 '도광양회(韜光養晦)'가 필요하지 않을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