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탄핵안결정에 대비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장을 찾아가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후보를 임명하겠다고 했지만 야권에서 이를 거부한 결과 황교안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것이다. 물론 당시에도 야권이 황총리를 탐탁하게 여겨 그렇게 한 것은 아니지만 박 대통령의 즉각 하야를 염두에 둔 속내가 그런 사태로 결말을 짓게 한 것이다. 결국 박 대통령의 하야가 아닌 '권한정지사태'를 맞게 되면서 불가피하게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체제를 인정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총리의 대통령권한대행 사례가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있었지만 권한대행의 직무범위가 법규정에 명시된 바 없어 황 권한대행의 직무수행을 놓고도 시비가 있어왔다. 그러나 황 권한대행은 40여일의 국정수행에서 대과 없이 업무를 수행했고 야권과도 격렬한 마찰은 없었다. 황 권한대행이 최근들어 야권과 일부 여론의 비판에 부딪힌 것은 직무수행 보다 '대선출마'와 관련된 그의 입장이다. 최근 신년기자회견에서 그는 대선출마의사를 묻는 질문에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은 태도를 보였다. 국정의 안정적 수행에만 전념할 뿐 여론조사에서 자신에 대한 지지도 조사는 자신과 무관하다고 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는 지극히 당연한 발언이라 하겠다. 그러나 대선출마질문에 분명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출마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볼 수 있다. 선거 30일전에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사임하면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는 현행법에 의해 그에게도 대선출마의 조건과 자격이 주어져 있음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의 대선출마를 부정적 시각에서 보는 일부 언론은 안보와 경제위기가 엄중한 상황에서 한 달 전 조기사임으로 부총리의 대통령권한대행을 초래하는 것은 국정방기의 무책임이 아니냐는 비판이다. 또 일부에선 박 대통령의 탄핵사태에 대통령과 함께 국정을 수행한 총리에게도 공동책임이 있다는 논리로 출마해서 안된다는 것이다. 황 권한대행이 이같은 주장을 받아들여 마음속으로는 불출마를 굳히고 있어도 이를 입밖에 내는 순간 권한대행의 국정장악력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 때문에 그렇게 못할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탄핵사태와 더불어 이른바 보수정치권이 몰락하는 바람에 보수성향국민들이 선택할 후보가 희소해졌고 이로 인해 황 권한대행에 대한 보수후보의 기대치가 높아진 것이다. 보수성향지지층의 대선후보 적합도조사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다음으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그의 이름이 오른 것도 그 때문이 것이다. 이념성향이 불분명한 반전총장이 앞으로도 이전과 같은 정치적 행보를 보이고 황 권한대행에 대한 보수층의 기대가 계속된다면 그는 본의든 아니든 출마압박을 받게 될 것이고 출마를 결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그가 출마를 결심한다면 야권의 반발과 그를 박 대통령 세력으로 간주하는 비토층의 거부가 따를 것이지만 그를 지지하는 세력들도 매우 강하게 뭉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그는 보수층으로부터 통진당 해산 등의 공로로 안보관에 대한 신뢰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지지층의 결집력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의 출마가 현실화되면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국민들 사이에는 박근혜 정부의 공동책임문제, 국정방기론 등이 다시 제기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법적 문제가 아니다. 정치적 책임과 도덕성의 시비일 뿐이다. 종국적으로 그 문제에 대한 심판은 유권자 선택의 몫이라 할 수 있다. 유권자의 후보선택은 절대적 선택이라기 보다 비교우위를 가리는 상대적 선택이기 때문이다. 그의 불출마를 강박할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