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포항공대) 연구진에 의해 우주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접는 반도체가 개발됐다. 13일 포스텍에 따르면 이문호(54, 화학과 포항가속기연구소), 김오현(53,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함석규(32,화학과) 박사팀은 영하120도(℃)에서 영상 150도까지 온도가 급변하는 우주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는 반도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문호 박사팀이 개발에 성공한 접는 반도체는 '우주복 섬유'로도 알려진 "폴리이미드(polyimide) 고분자를 활용해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소자로, 이 반도체 제조 기술은 영하 269℃~영상 400℃의 온도 영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폴리이미드 고분자를 활성층(active layer)으로 이용함으로써 우주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라고 이 박사팀은 밝혔다. 특히, 폴리이미드 고분자는 기계적 강도도 우수해 활성층 뿐만 아니라 기판으로도 활용이 가능해 반도체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기존에 활용된 다른 유기물질에 비해 합성 시간이 짧아 제조시간도 단축, 간단한 스핀코팅 공정으로 원하는 두께의 활성층을 얻을 수 있어 대량생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폴리이미드'는 특성상 매우 가볍고 쉽게 구부릴 수 있어 고집적화가 가능해 접는 전자신문이나 전자책, 전자 종이, 접는 컴퓨터, 옷에 입는 컴퓨터 등에도 활용할 수 있어,이번에 개발된 소재가 우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형 디지털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텍 이문호 교수(포항가속기 연구소장)는 "기존의 실리콘이나 금속 산화물을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10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또 "차세대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를 낮은 단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상용화 시기도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문호 박사팀의 연구성과는 신소재 분야의 대표 전문 저널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최신호를 통해 발표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