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장성재 기자] '경주 문화재 제자리 찾기 운동'과 '미남석불' 등으로 큰 주목을 받았던 청와대 경내의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이 보물로 지정·예고됐다.문화재청은 지난 8일 열린 제1차 문화재위원회 동산문화재분과 회의에서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4호인 석조여래좌상의 학술적·예술적 가치 등을 검토해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밝혔다. 통일신라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중대석과 하대석이 손실됐지만 다른 부분은 큰 손상 없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불상은 편단우견(한쪽 어깨 위에 법의를 걸치고 다른 쪽 어깨는 드러낸 모습)을 걸친 항마촉지인(왼손을 무릎 위에 얹고 오른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손 모양)의 모습으로 경주 석굴암 본존상을 계승한 형태이다. 미남석불이라고 불릴 정도로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적 특징과 조각적인 양감이 풍부해 통일신라 불상조각의 위상을 한층 높여주는 작품이다. 특히, 사각형 대좌는 동시기 불상 중에는 사례가 거의 없어 독창적인 면모가 돋보인다는 평가이다.이 불상은 1913년경 경주에서 반출되어 당시 서울 남산 왜성대에 있는 총독 관저에 놓였다가 1939년 총독 관저가 경무대(청와대 이전 명칭)로 이전하면서 함께 옮겨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경주 문화재 제자리 찾기 시민운동본부(대표 김윤근 경주문화원장)는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을 경주로 다시 옮겨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지난해 9월 경주 문화재 제자리 찾기 본부는 발기 취지문을 통해 "석조여래좌상을 불국사 또는 국립경주박물관 등 안전한 곳으로 가져와야 한다"면서 "학술적 검증이 마무리 되는대로 이거사지(경주시 도지동에 있는 신라 시대 절터)만 확보되면 즉시 그곳으로 옮겨서 야외 전시를 해도 무난하다. 석조여래좌상이 경주에 오는 것 자체가 문화주권의 회복이자 관광상품으로서도 대단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석조여래좌상의 원위치와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보물 지정 검토를 하면서 과학조사에서 석조여래좌상의 석재가 남산과 경주 이거사지 등에 분포한 경주지역 암질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됐다. 다만, 조사 결과 구체적인 장소를 특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앞으로 복원과 원위치 확인을 위한 더 심도 있는 조사연구가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