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단위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거부하고 현장학습, 문화행사를 진행한다는 일부 교육·학부모단체에 대해 '아이들을 볼모로 행동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평가는 교육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며 "학생들을 볼모로 해서 행동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교총은 "정치적 기호에 따라 매번 이런 일(시험 거부)을 계속한다면 앞으로도 혼란이 계속될 것"이라며 "협의 등을 통해 개선해야지 이렇게 물리적인 방법으로 주장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교육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교총은 현장학습에 대해서도 "학부모들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고 해서 매번 이런 행동을 벌이면 교육공동체의 틀이 무너질 수 있다"며 "시험을 보지 않을 권리보다 교육을 받을 권리가 우선이다"고 지적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도 "학업성취도 평가는 기초적인 평가"라며 "시험을 거부하고 현장학습을 강행하는 것은 아이들을 볼모로 한 집단 이기주의"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일부 교사들의 시험 거부 운동은 국가발전의 퇴보의 길"이라며 "일제고사 거부 감시·신고 센터를 개설해 우리나라 교육을 살리겠다"고 밝혔다. 고려대학교 김성태 교수는 "초등학교 3학년과 같이 너무 저학년에게는 전국 단위의 일제고사가 성급한 경향이 있지만 중고등학교 차원에서는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며 "현장학습 강행 등은 시험 전 충분히 공론화 과정을 거쳐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했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 같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