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국제 수준에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은 16일 “국내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정도를 처음으로 측정해 본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점인 50점에도 미치는 못하는 41.9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국내 매출액 상위 120개 기업을 대상으로 대한상의가 에너지관리공단과 공동으로 국내 최초로 개발한 ‘산업계 기후변화 경쟁력지수(KCCI Korea Climate Change Index)’를 적용해 조사한 결과이다. 지수는 ‘기후위험’, ‘기후성과’, ‘시장기회’, ‘정보공개 및 정책협력’으로 구성돼 있다. 조사결과 기후변화가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나 취약성은 52.8점으로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제적인 노력 및 투자 39.5점, 국내외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새로운 사업 기회로 만들기 위한 전략 수립44.8점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의 탄소관련정보를 공개하고 정책당국과의 상호 협력 부문은 30.2점으로 조사돼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산업별 평가에서는 자동차(55.9점), 반도체(52.9점), 석유화학(50.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미국 및 유럽시장의 무역환경 규제에 대비해온 기업들이 기후변화 경쟁력에서 앞서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들이 기후변화라는 새로운 성장패러다임에 제대로 대응할 경우 생산비용의 상승, 선진국 시장 진출 제약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국가 경제와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의 재편을 통한 선진 경제 진입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한국은 OECD 회원국이지만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속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국제사회의 의무 감축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체제를 갖춰야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선진국의 기업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체계를 갖춰 경영은 물론 생산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친환경 기술의 개발과 친환경제품 생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늦은 감이 있지만 지난 9월 정부가 기후변화에 효율적, 능동적 대응을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제시, 범정부적 대응책을 시행중에 나섰다. 상의 지속가능경영원 관계자는 “기업들이 기후변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대응을 위한 노력과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정책 또한 기업의 자발적 노력을 유인할 수 있는 지원 및 대책 마련에 초점을 맞춰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