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대표 경선에 출마한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파 안철수·조경태 후보의 단일화가 19일 무산됐다. 이에 따라 4명의 후보가 모두 본선 대결을 벌이게 되면서 1·2위를 대상으로 한 결선 투표에 누가 올라가느냐가 막판 변수로 떠오르게 됐다. 현재까지 여론조사에서 1차 당선이 가능한 과반의 지지를 받은 후보는 없는 상태다.조 후보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안 후보가 절실한 혁신후보 단일화 요구를 외면했고, 후보단일화 제안을 수용하지 않았다"며 "단일화는 메아리로만 남게 됐지만, 국민과 당원이 혁신단일 후보를 선택해달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안 후보는 이날 연합뉴스 TV에 출연해 "결선 투표가 있는 대표 경선에서 단일화는 처음 들어보는 일"이라며 "당원과 국민들이 표로 단일화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안 후보의 후보 단일화 거부 입장은 조 후보와의 단일화를 통해 얻을 실익이 크지 않다고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검 참고인 조사를 거부했던 안 후보의 입장에서 특검에 출석해 "당내에 내란 동조 세력이 존재하고 있다"고 말한 조 후보와의 연대가 당심 확보에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인적 쇄신을 둘러싼 안 후보와 조 후보의 차이도 단일화 무산의 요인으로 꼽힌다. 안 후보는 대선 백서 제작 후 책임에 따른 인적 쇄신을 주장하고 있지만, 조 후보는 윤 전 대통령 체포 때 한남동 관저 앞에 간 의원 45명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인적 청산을 공약으로 내세웠다.찬탄 단일화가 무산되면서 이제 정치권의 시선은 4명의 후보 중 누가 1·2위를 차지할지에 쏠린다. 국민의힘 대표 경선은 과반 득표가 나오지 않으면 26일 1·2위 간 결선 투표를 진행한다. 압도적 '1강'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결선 투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최근의 여론조사와 막판 변수로 꼽혔던 단일화 무산을 고려하면 반탄파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결선투표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른바 '김앤장' 결승전은 당원투표가 80% 반영되는 경선에서 쇄신과 변화를 내건 안·조 후보보다 안정과 통합을 내세우는 반탄 후보들에게 당심이 기울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이에 따라 김 후보와 장 후보는 강성 당심 확보를 위한 대여 투쟁력을 더욱 끌어올리고 있다. 
 
특검의 당사 압수수색에 반발해 당사 농성을 진행 중인 김 후보는 페이스북에 "무도한 이재명 특검의 영장을 내일까지 막아야 한다"고 적었다. 장 후보는 페이스북에서 "국민의힘을 혁신하고 강한 정당으로 만들어 내년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정권, 조국혁신당을 끝장내겠다"며 공세를 이어갔다.반면, 안·조 후보는 막판 합리적 보수 지지층 결집을 시도 중이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에게 실망한 '샤이 보수층'이 투표에 적극 참여할 경우 여론조사와 다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국민의힘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20일부터 이틀간 선거인단 투표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