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민 가운데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국민은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 3명 중 1명은 수돗물을 불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10일부터 7월7일까지 15세 이상 남녀 2000명과 환경관련 전문가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조사는 신뢰수준 95%에 최대허용오차 ± 2.2%다. 이 조사에 따르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응답자는 1.4%에 불과했으며, 국민 대부분은 수돗물을 끓여서 마시거나(43.5%) 정수기로 정수(41.9%)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의 수돗물이 부적합하다는 응답자가 63.6%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일반국민의 36.5%만 현재의 수돗물이 적합하다고 답했다. 부적합한 이유로는 '막연히 불안해서'(40%)가 가장 많았으며, '냄새가 나서'(19.5%), '녹물이 나와서'(11.7%), '물맛이 나빠서'(10.9%), '부적합하다는 언론보도 때문에'(1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막연히 불안을 느끼는 경우를 제외하면 수돗물의 악취와 녹물 등이 수돗물의 신뢰를 떨어트리는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국민들은 수돗물의 신뢰도 제고 방안으로 노후 수도관 교체(47.2%), 검사항목 확대(18.5%), 정수시설 개선 및 고급화(13.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밖에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9%가 관심이 있다고 답한 반면 전문가들은 100%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68.8%는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분야별 환경오염의 심각성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일반국민들의 지구온난화·기후변화(90.9%)가 가장 심각하다고 답했으며, 생활쓰레기(89.7%), 산업폐기물(88.7%)가 뒤를 이었다. 현재 우리나라 공기 상태에 대한 만족하는 국민은 22.6%에 불과했으며 42.8%는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가는 47.9%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환경규제와 경제활성화에 대한 조사결과 일반국민의 59.8%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40.2%가 규제완화를 반대했다. 특히 전문가는 74.4%가 규제완화에 반대했다. 환경부는 일반국민과 환경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주요 환경정책 및 환경관련 이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1995년부터 3~5년 주기로 '환경보전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