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와 각 지자체, 공기업 등이 쌀 직불금 수령 공직자들에 대한 자진신고를 접수한 결과 80% 이상이 지방공무원(교육직 포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진신고자 가운데 대부분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시·군 소속 공무원이었으며, 중앙공무원과 공기업 임직원 등은 상대적으로 얼마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공무원 절반 넘어…전남 4184명 최다
각 지자체별 직불금 수령·신청 공무원 자진신고 현황을 살펴보면 전남도가 4184명으로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경북도 3761명, 경남도 3091명, 충남도 3089명, 전북도 2774명, 경기도 2721명, 충북도 1597명, 강원도 1048명 순으로 농촌지역 시·군 소속 공무원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반면 농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광역시에서는 서울이 471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465명, 대구 457명, 울산 417명, 인천 338명, 부산 314명, 대전 254명으로 도 지역과 큰 차이를 보였다.
전체 자진신고 지방공무원 2만4982명 가운데 공무원 본인이 직불금을 수령한 경우는 8040명으로 집계됐다. 직계존비속이 수령한 경우가 1만1985명으로 가장 많았고, 2443명은 배우자가 수령했다고 신고했다.
◇직불금 자진신고, 교육공무원도 상당수 포함
직불금을 수령한 공무원 가운데 교육공무원도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공무원 직불금 수령 자진신고 접수결과 1만2707명이 신고했다.
지역별로는 경남교육청이 2102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남교육청 1777명, 전북교육청 1772명, 경북교육청 1729명, 충남교육청 1411명, 경기교육청 1353명 순으로 집계됐다.
자치단체 조사와 마찬가지로 농촌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교육공무원이 직불금을 수령했다고 신고했으며, 광역시 교육청에서는 대구교육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신고인원이 300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교육공무원들은 본인이 직접 직불금을 수령했다고 신고한 인원이 4857명으로 직계존비속 수령(4985명)과 비슷했고, 배우자가 수령했다고 신고한 인원은 1900명으로 조사됐다.
◇중앙공무원·공공기관 상대적으로 '소수'
이번 직불금 수령 공직자들에 대한 자진신고 접수 결과 중앙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은 상대적으로 얼마 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직불금을 수령했다고 신고한 중앙공무원 7642명 가운데 경찰공무원 4449명을 제외하면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은 3193명이다.
부처별로는 국세청이 525명으로 가장 많고, 법무부 467명, 국토해양부 265명, 직불금 소관부처인 농림수산식품부도 274명이 직불금을 수령했다고 신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임직원 중에는 4436명이 자진신고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자진신고 공무원 가운데 80% 이상이 시·군·구나 읍·면·동에 근무하는 중·하위직 공무원"이라며 "대부분 배우자나 직계 존비속 등 가족들과 함께 농사를 지으면서 본인 이름으로 쌀 직불금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