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본사 이전과 관련 국토해양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결정을 하루 앞둔 5일 동경주 주민들과 시내권으로 유치하려는 시민사회단체와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팽팽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수원 본사 이전과 관련된 사업은 경주시가 주민투표를 통해 국책사업인 중저준위 방폐장을 경주지역으로 유치함으로써 정부가 3000억원의 유치 인센티브와 방폐장 유치지역지원사업(62개 사업 4조원 규모)을 정부가 지원해 주기로 약속한 부분이다. 하지만 한수원 본사 이전이 양북면 장항리로 결정되자 지방정계와 시내권 주민들은 시내와 멀리 떨어진 점 등을 들어 재검토 주장을 줄기차게 제기해 왔다. 중토위의 결정 시한이 하루앞으로 다가오자 임동철 양북면 한수원 이전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현재 한수원 본사 이전과 관련 주민들과 대책위에서는 시내권 이전은 용납할수 없다는 입장과 함께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임 위원장은 지난달 말 경주시의회가 한수원 이전 문제를 두고 대책위원회에 공문을 보낸온 것과 관련 임시회의를 열어 대책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들어보려고 했으나 성원이 되지 않아 무산됐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의회는 본사 이전과 관련 지난달 9일 제140회 임시회를 마친후 긴급 의원 간담회를 개최해 한수원 본사 시내 이전 문제와 관련 대다수의 의원들이 시내로 이전을 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참석한 대부분의 의원들이 동경주 주민들에게 한수원 본사와 버금가는 인센티브를 주는 등 감포, 양남, 양북의 원전주변지역 주민 동의를 반드시 얻어 도심권으로 옮기자는 방안에 의견을 모아 대책위원회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 본사 시내권으로 이전' 시내권주민과 경주지역 지도층 목소리 높아져 지난달 29일 경주중심상가연합회와 경주경제살리기 시민연합등 50여개 지역시민단체들은 청와대와 국토해양부에 30만 경주시민이 화합을 위한 거국적인 논의를 할 수 있도록 한수원 본사이전부지 공익사업인정 안건 상정을 3개월 연기해 주길 바란다는 건의문을 보내는 등 부지 선정을 두고 동경주 주민들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시내에서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는 A씨(45)는 낙후된 농촌지역인 동경주 주민들의 입장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경주지역의 전체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시내권으로 본사가 유치되어야 한다는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한수원 본사이전 부지 결정을 앞두고 기존 이전 부지로 결정된 동경주 주민들과 지역의 전체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시내권으로 이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한수원 이전이 어떻게 결정이 되든 그 파장은 오래 갈 것으로 보인다. 중토위에서 한수원 본사 이전과 관련 공익사업으로 인정할 경우 일대 토지 수용이 가능해져 지주들의 재산권 행사가 불가능해지게 되며, 이럴 경우 한수원이 즉각 토지 매수에 나서야 된다. 한수원의 토지 매입이 이루어지면 사실상 부지 재검토는 불가능해진다. 한수원 본사 이전 부지 선정은 우여곡절 끝에 2006년 12월29일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로 결정됐으며, 2010년 7월까지 15만7142㎡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