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장성재 기자] 2003년 계간 '시작'을 통해 등단한 영주 출생 채상우 시인의 시집 '멜랑콜리'가 출간됐다. 멜랑콜리는 시집 '리튬'을 통해 많은 시인들에게 신선한 시적 자극과 영감을 제공했던 채상우 시인이 필명(채은)으로 상재했던 첫 번째 시집이다.    시집에는 작가의 아픈 상상력이 오만한 통속이 되지 않도록, 감내한 시간들에 대한 진술이 자기모순의 정당화가 되지 않도록 고군분투하는 비정한 자기 관찰이 돋보인다. "버려야 하는데, 버릴 수 없는 나날들이 백색왜성처럼 단단하게 식어 간다"라는 멜랑콜리의 부분에는 버려야 하는데, 버릴 수 없는 나날들이 그를 구체적으로 아프게 했지만, 반성을 시작할 수 있도록, 그가 멜랑콜리에 갇혀 꿈틀거리고 꿈꿀 수 있도록 했다. 오랫동안 신음하던 그는 멜랑콜리와 함께 제 치부를 활짝 드러내 놓고도 천연덕스럽게 아름다울 수 있기를 꿈꾸었던 걸까. 시집의 마지막 시편에서 시인은, “연락이 두절된 척후처럼, 푸른 재가 되기 위해 불타고 있다”고 적었다. 또한 불협과 화음을 접합해 불협화음을 직조해내고 있는 이 시집에서 시인은 엄정하고 비정한 자기 관찰을 통해, 비정한 도시를 바로 보기 위해 비틀거리면서도 끝까지 살아내기 위한 투명한 칼들이 날아오는 비정성시의 끝과 시작을 증언하고 있다. 그 증언은 산다는 일의 참담함, 전망 없는 모순을 견디는 나날에 대한 소묘와 다르지 않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