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곶과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리 영일만 항까지 바다를 가로 지르는 11km 길이의 해상대교 건설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심사대상에 올라 한국개발연구원이 타당성 조사용역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3월 영일만대교 건설의 필요성을 국토해양부에 전달한 후 시는 영일만 대교 건설과 관련된 본격적인 활동과 함께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이에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는 지난 9월 영일만 대교가 건설될 예정부지를 찾아 실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 검토 단계에 있는 영일만 대교의 규모는 11km 4차선 교량으로 총연장 12.343km의 인천대교에 버금가며, 사업비 1조8300여억원을 투입해 북구 흥해읍 용한리에서 남구 대보면 구만리까지 건설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전체 구간을 교량으로 만들지에 대해선 아직 말할 단계가 아니지만 일정한 지점에 해저 터널 방식으로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또 "영일만 대교가 정부심사를 통과하면 내년에 준공되는 영일만 항과 외곽도로인 국도대체우회도로(북구 흥해읍에서 남구 동해면)와 연결한 뒤 도시순환 고속도로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영일만 대교 건설의 필요성과 관련해 시는 "러시아와 일본을 연계한 환동해권의 요충지인 영일만 항(2009년 개항)의 원활한 물동량 수송에 반드시 필요하고, 영일만항 및 인근 4개 산업, 배후단지의 원활한 수출입 물동량을 이동을 위해 꼭 건설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영일만 대교의 건설 예정 해역의 최대 수심은 29m로, 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용역 결과 타당성 적합 판정이 나면 기본실시설계 등 본격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시 관계자는 말했다. 배동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