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금장대와 석장동 암각화는 물론, 예기청소지, 경주예술의 전당을 잇는 경주의 새로운 관광명소 다리가 만들어진다. 경주시는 7일 경주예술의 전당 본관 주차장 인근 지점에서 형산강을 가로질러 금장대를 잇는 공도교 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도교란 댐이나 보의 유지 보수에 쓰이는 다리를 뜻한다. 시는 형산강의 유지용수 확보와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기존의 월령보를 새로 개량하고 그위에 자전거 및 보도용 다리를 놓기로 했다. 시행청인 부산국토관리청은 사업비 45억원으로 오는 10월경 착수해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한다. 형산강의 유지용수 확보와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기존의 월령보를 새로 개량하고 그위에 다리를 놓는 형식으로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교량(길이 239m, 폭 5m) 개설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사업이 완공되면 무녀도의 배경인 금장대와 신라시대 자비왕 때 을화라는 기생이 왕과 연희를 즐기는 도중 실수로 빠져 죽었다는 설화가 전해오는 예기청소지, 선사시대 암각화, 금강사지 터, 경주 예술의 전당을 연계하는 금장낙안(金丈落雁)의 또 다른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경주시는 보의 유지관리와 함께 관광명소인 금장대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형산강 하천환경정비사업 시행청인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수차례 협의를 통해 새로 설치하는 월령보에 공도교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으로 2016년 3월 사업을 확정했다. 하지만 2016년 9월 경상북도 제98호 기념물인 ‘경주 금장대 암각화’ 주변 경관 훼손 및 보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경상북도 문화재 현상변경심의에서 불허가 결정으로 사업추진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이에 시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함께 교량 시공방법을 변경하고, 문화재와 어울리도록 디자인을 변경해 지난달 문화재현상변경 재심의에서 관계전문가로부터 공법과 난간디자인 자문을 받아 시행하는 조건으로 허가를 득해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시 관계자는 “공도교 개설로 시내지역 주민들의 금장대 접근이 편리해지며 시민과 관광객들과 한층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금장대 둘레길 조성을 비롯한 형산강 프로젝트와 연계해 사업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