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사회적기업이 실제 일자리 창출에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산대 경영학과 곽선화 교수가 7월28일부터 9월9일까지 51개 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7년 인증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에 고용된 유급 근로자수가 지난 해 6월 2083명에서 올해 3220명으로 1.5배 가량 늘었다.
특히 취약계층 근로자수는 지난 해 1040명으로 전체 유급근로자의 49.9%에 달했지만 올해는 1836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57%를 차지해 6.1%p 증가했다.
취약계층 가운데 중고령자가 39.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장애인(30.6%), 저소득층(17.9%)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49.5%로 비정규직(50.5%)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임금은 지난 해 96만8000원에서 올해 98만9000원으로 2.1%p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최저임금은 33만8000원으로 지난해(37만3000원)보다 되려 9.3%p 감소했다. 이에 대해 곽 교수는 "법정 최저임금은 78만8000원이지만 지적장애인의 경우 최저임금적용 제외 신청을 통해 현실적으로 낮은 임금을 적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수혜자는 올해 3만415명으로 지난 해(2만1430명)에 비해 41.5% 증가했다. 이 가운데 취약계층 수혜자는 1만7317명(56.9%)으로 일반인 수혜자 1만3098명(43.1%)보다 많았다.
이 밖에 정부와 지자체 지원금 대비 매출액은 277.8%로 사회적기업은 지원금 대비 3배 가량의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건비 대비 매출액 역시 185.9%로 조사됐다.
한편 노동부는 시장 경쟁력을 갖춘 사회적 기업의 성공 모델을 만들고, 확산시키기 위해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12년까지 5년간 시행할 방침이다.
노동부는 창의적이고 시장경쟁력을 갖춘 견실한 사회적 기업의 성공모델 제시 및 확산을 목표로 ▲사회적기업 친화적 문화와 환경 조성 ▲창의적 사업모델 발굴 및 신규설립 활성화 ▲사회적기업 경영혁신 지원 ▲사회적기업 육성시스템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기본계획을 토대로 실천계획을 수립하되 양적인 성장보다는 사회적일자리 등 단기, 저임금 일자리와 구별되는 견실한 사회적기업 성공모델을 발굴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