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심이나 농촌의 도로를 운전하다 보면 전동휠체어를 타고 가는 장애인을 쉽게 볼 수 있다. 전동휠체어의 등장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도 거리를 다닐 수 있어 이용이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도로 여건상 전동휠체어가 다니기에는 아직 미흡한 면이 많다. 그런 연유로 전동휠체어는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위험이 항상 내포돼 있고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 도로가 아닌 보도 역시 전동휠체어가 다니기에는 울퉁불퉁 해 오히려 장애인들이 보도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일반 도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전동휠체어가 일반 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신호등을 지켜서 건널 때에도 일반 승용차들 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나거나 교통지체로 인한 혼잡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전동휠체어에 등화장치만이라도 의무적으로 설치, 위험한 도로를 운행할 때 비상깜빡이를 켜고 간다거나 전면과 후면에 좌우깜빡이를 설치, 전동휠체어의 예상 움직임을 운전자들이 쉽게 알도록 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