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은 허향숙 박사팀이 치매 원인인 뇌염증 억제 물질을 찾았다고 24일 밝혔다. 허향숙 책임연구원이 주도한 한미 공동연구팀의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Journal of Neuroinflammation)' 11월호에 게재된다. 
최근 뇌의 면역반응으로 생기는 염증, 즉 뇌염증이 치매와 같은 퇴행성뇌질환과 관련이 깊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뇌염증을 일으키는 미세아교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신경 손상과 기억력 퇴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뇌염증과 미세아교세포를 조절하는 방법은 퇴행성뇌질환의 치료 전략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등 실험동물에게 'CA140'이라는 신물질을 투여한 결과 뇌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도가 낮아지고, 뇌염증 반응도 억제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CA140는 흥분성 신경조절물질인 도파민의 구조를 기본으로 합성한 저분자 화합물로, 미국 UC샌디에이고(샌디에고 캘리포니아주립대)의 제리 양 교수가 7년 전 처음 만들어졌다.
도파민 수용체가 세포 수준에서 뇌염증을 조절하는 자세한 분자기전을 밝혀내고 억제 약물까지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