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우울증 치료물질 탐색기술을 개발해 국내 제약기업 보로노이㈜에 이전한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원은 이날 보로노이(주)와 연구원 본관 2층에서 이와 관련한 기술이전 협약을 맺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 기술은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구자욱 박사 연구팀이 美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과 3년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은 지난 6월 '항체침투기술'이전에 이어 설립이후 두 번째 기술이전으로 우울증 발병에 사회적 스트레스와 특정 뇌신경 분비물질의 증가가 동시에 기여한다는 점을 이용해 개발한 약물검색 기술이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 특정부위에 자극을 줄 경우 '뇌유래신경성장인자(BDNF)'라는 물질이 증가되면서 우울행동 역시 늘어나는 현상을 확인했다.
또 실험쥐를 주변 쥐에게 지속적으로 공격받게 하는'사회성 패배 스트레스'에 만성적으로 노출시킨 뒤 광유전학 자극을 가해 BDNF 분비를 늘릴 경우, 우울 행동 역시 증폭됨을 발견해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을 처리하면 우울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현상을 이용해 사회적·생리적 우울증 유발 자극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우울증 치료물질 평가 플랫폼을 동물모델을 통해 구축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보로노이㈜는 정액기술료를 일시불로 지급하고 실시권을 갖게 된다. 
구자욱 한국뇌연구원 박사는 "우울증 치료 검증에 중요한 기술을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협력을 통해 우울증 치료에 한 발짝 더 나아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