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7년까지 연간 3만 여명에 달하는 안전사고 사망자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안전 사고예방 종합대책을 9일 열린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의 안전사고 사망자 비율은 12.1%로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는 수준으로 행안부는 이번에 확정한 안전사고예방 종합대책을 현재 각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연계해 2017년까지 OECD 평균수준인 6%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대책은 중앙부처 및 지자체, 국가안전정책 관련 학계·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생활, 교통, 산업, 식품·보건, 범죄, 화재 등 7대 분야에서 100대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정부는 과제별 이행시기에 따라 3단계로 나눠 2009년까지 '농산물 안전성 관리 강화' 등 29개 과제, 중장기적으로는 2012년까지 '보행자 안전도로 만들기 사업' 등 68개 과제, 장기적으로는 2017년까지 '자살 예방 대책' 등 3개 과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번 종합대책의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올바른 안전 문화 형성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등을 지원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각 과제별 추진 성과 및 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평가해 정부 포상 등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종합대책은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2017년에는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