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적인 불황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의 돌파구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지식경제부 주최로 10일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2008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국제컨퍼런스'에서 한·미·일 석학들은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최근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생태계 경쟁력과 상생협력’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에서 전경련 조석래 회장은 개회사에서 "중소기업이 역량과 기술경쟁력을 높이면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기업생태계 경쟁력도 보다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조연설에 나선 세계적인 경영석학인 하바드대 마르코 이안시티(Marco Iansiti) 교수는 "기업생태계란 상품 설계, 제조, 판매까지 기업 경영의 각 부문에서 협력하는 수많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라며 "기업생태계의 각 구성원들은 자연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속한 기업네트워크와 생사를 함께하는 운명공동체"라고 언급했다. 이안시티 교수는 "기업생태계 경쟁력 관리가 글로벌 경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상황임에도 기업들이 이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고, 관리도 소홀하다"며 "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신속히 달성하는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지속성장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안시티 교수는 세계 초일류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경우 자사 규모에 비해 100배 이상이나 큰 기업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기업생태계 지원에만 매년 약 1조5000억원(10억 달러) 정도를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이기태 부회장은 '글로벌 경쟁환경의 변화와 상생협력'을 주제로한 발표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 범국가차원의 '상생'이 필요한 시기"라며 "최근 글로벌 시장이 기업생태계간 경쟁으로 변화하면서 대·중소기업간 협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교토식 경영’의 저자인 교토대 스에마쓰 지히로(Suematsu Chihiro) 교수는 "거품 붕괴 후 일본 기업들이 실적 악화에 허덕이는 상황에서도 교토에 근거지를 둔 기업들은 경이로울 정도로 높은 성장을 달성했다"며 "성공 비결이 바로 기업생태계의 기본요소인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을 활용한데 있었다"고 말했다. 컨퍼런스에서는 또한 한국 기업생태계의 현주소를 알아보기 위해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와 상생협력연구회가 진행한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기업생태계의 상생협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주제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기업생태계를 비교한 서울대 박남규 교수는 "미·일 등 선진국은 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개별 조직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고 규모도 큰 반면, 개발도상국은 경쟁력이나 규모가 취약하다"며 "강력한 기업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업간 상생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대학원 원장은 '한국의 자동차‧철강 산업의 기업생태계와 상생협력' 발표에서 "자동차·철강 산업은 상생협력 추진과정에서 중소기업의 기술력향상을 강조해온 점이 나타나고 있다"며, "자동차 산업의 경우 부품구입 해외의존도가 2003년 7.4%에서 지난해 3.0%로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종욱 상생협력연구회 회장(서울여대 교수)은 ‘한국의 전자·IT 산업 기업생태계와 상생협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국내 전자산업의 생태계는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고 역동성이 높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진화에 적응하는 기업생태계에서 진화를 선도해가는 기업생태계로 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제품기능 및 디자인 등 새로운 모델개발을 통한 시장 확장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중소협력업체로의 상생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