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택 전월세 전환율이 지난 2011년 1월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7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8년 10월 신고 기준 전월세 전환율'에 따르면 전국 주택 기준 지난달과 동일한 6.2%로 집계됐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시 적용되는 비율이다. 이는 동일단지·면적의 유사한 월세매물 중 전월세 전환율이 높은 비율은 낮은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월세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정기예금금리 및 주택담보대출금리 모두 지난달 대비 상승한 가운데 주택종합 기준 전월세전환율은 6.2%로 지난달과 동일했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월세가격 동반 하락세로 지역별·유형별·거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전국(6.2%)기준으로 보합세 유지하며 지난달과 동일했고 수도권(5.7%)은 지난해 11월 하락이후 11개월만에 0.1%p 하락했다. 시도별로 대구는 7.3%를 기록했다. 서울은 5.3%로 가장 낮았으며 경북은 8.9%로 가장 높았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4.7%→4.7%), 연립다세대(5.9%→5.8%), 단독주택(7.7%→7.6%) 순으로 나타나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지난달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고 단독주택은 0.1%p 하락했다. 수도권은 아파트 4.4%, 연립다세대 5.4%, 단독주택 6.9%로 나타났고 지방은 아파트 5.3%, 연립다세대 8.4%, 단독주택 9.2%로 나타났다.  대구의 경우 아파트(4.5%→4.6%)로 0.1%p상승했으며 연립다세대(7.3%→6.9%)는 0.4%p하락했고 단독주택(9.3%→9.3%)으로 동일한 전환율을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