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동해안을 끼고 있는 3개 시도는 좀더 체계적이고 친환경적인 개발전략 마련을 위해 경북도가 주관이 되어 울산, 강원과 공동으로 초광역적 대응, 새로운 미래를 향하는‘동해안권발전 종합계획’수립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내년도 12월까지 추진되며 동해안을 21C 환동해경제권의 중심지대로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가경쟁력강화와 국가균형발전에 이바지하는 기회로 삼아 저탄소 녹색성장 등 시대적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이들 3개 시 도지사(의장 김관용)가 지난 7월 11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제정된 동 서 남해안권발전 특별법에 의거 동해안의 미래 지향적인 발전구상과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동해안발전 종합계획’수립을 위해 공동협약서를 체결하고 동해안권발전 종합대책 회의, 실무회의 등을 걸쳐 마침내 첫 발을 힘차게 내딛게 된 것이다. 주요 과업내용은 동해안발전 기본구상 및 부문별 발전전략 제시를 통해 우선 추진할 선도사업에 대한 개발기본구상을 마련하는 한편 동해안권의 미래비전을 보다 명확하게 설정하고, 발전종합계획 부문계획들의 발전방향과 부합되게 지역발전전략 모델로서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본 종합계획은 제4차 국토계획 재수정계획의 하위계획으로서, 녹색시대에 걸맞는 성장동력 발굴과 국토계획의 실현을 위한 선도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앞으로 3개 시 도(경북, 울산, 강원)에서는 원활한 용역추진을 위해 지역별로 공동협의회,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동해안발전에 관한 주요정책 개발, 공동개발사업 발굴 등에 관한 사항을 집중 논의해 지역별 특화방안을 다양하게 마련하며 아울러, 관계 전문가 및 지역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동해안지역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번 과업을 통해 동해안 해양관광 활성화와 지역특화 발전방안이 도출되기를 동해안권 지역주민들은 크게 기대하고 있으며 만성 낙후지역인 동해안의 저탄소 및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인프라 확충 등으로 국토균형개발의 초석을 놓는 의미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종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