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간암 치료제를 개발할 길을 열어 관심을 끌고 있다.
15일 경남 진주시 경상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박기훈 교수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정원 교수가 간암의 생성, 전이 등의 주요 원인 단백질로 확인된 'TM4SF5'를 발견했다.
또 'TM4SF5' 단백질을 제어할 수 있는 천연물 신약 후보 물질인 'TSAHC'를 개발했다.
특히 전임상 수준의 동물실험에서 ‘TM4SF5’가 원인이 된 종양의 생성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물론 종양의 전이를 억제한 데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현재 분자표적 간암 치료 후보화합물인 'TSAHC'는 신물질로 미국 특허 2건, 국내 특허등록 등 지적재산권을 이미 확보한 상태다.
실제 한국인 간암 환자들의 77%(실제 확인한 9명 중 7명)에서 'TM4SF5'가 과다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돼 'TM4SF5'가 간암 치료의 새로운 타깃으로 인식되고 있다.
'TM4SF5'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이 곧 간암 치료제가 되는 셈이다.
이정원·박기훈 교수는 "'TSAHC'는 간암 생성에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인 종양의 증식과 암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주변 혈관세포 증식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기존의 세포독성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은 획기적인 분자표적 간암치료제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