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자기부상열차 레일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제철은 자기부상열차 레일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국토해양부와 한국기계연구원, 철도시설공단 등이 추진하고 있는 시속 110㎞급 무인자동운전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에 레일 개발 주체로 참여한지 2년 만의 성과다.
자기부상열차는 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레일 위에 부상시켜 달리는 열차로 소음과 진동이 매우 적고 마찰계수도 낮아 고속을 유지할 수 있다. 현재 자기부상열차는 시속 100㎞ 전후의 도시형과 500㎞에 이르는 초고속형 두가지가 있는데, 이번 현대제철이 개발한 자기부상열차 레일은 도시형에 적용된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는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영종도 일대에 오는 2020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총연장 54㎞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1단계로 내년 2월부터 2012년까지 시범노선 6.8㎞(차량기지 포함)가 건설된다.
현대제철은 내년 초 자기부상열차 연구노선인 대전 기계연구원 1.3㎞ 구간에 500t 가량의 자기부상열차 레일을 납품할 계획이며 향후 1단계 건설기간에 4400t, 3단계까지 총 3만5000t의 레일을 공급하기로 했다.
현대제철은 "이번 자기부상열차 레일 개발로 향후 국내 및 해외 자기부상열차 건설시 수주효과는 물론 기업이미지의 제고 등이 기대된다"며 "현재 경제 위기를 기술로 극복하는 한편 향후 계속적으로 수요가의 욕구에 맞는 신제품 개발을 통해 철강제품의 신수요 창출에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